아베 담화 '사죄' 포함 전망 잇따라…"과거담화 인용 형식"

편집부 / 2015-08-11 09:51:12
교도통신 "사죄 포함하되 일본의 행위로 특정안할듯"
"식민지 지배, 침략 반영"…NHK도 10일 '사죄' 포함 예상보도
△ 아베 신조 일본 총리(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아베 담화 '사죄' 포함 전망 잇따라…"과거담화 인용 형식"

교도통신 "사죄 포함하되 일본의 행위로 특정안할듯"

"식민지 지배, 침략 반영"…NHK도 10일 '사죄' 포함 예상보도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4일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에 '사죄'를 넣을 것이라는 일본 언론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침략' '식민지 지배'라는 표현을 넣는 것이 유력한 가운데 아베 총리가 가장 꺼려온 표현인 '사죄'까지 담는다면, 어떤 수위로 포함할지가 새로운 관심사다.

'사죄'를 넣더라도 과거 담화를 인용하거나, 일본의 '침략'행위를 특정하지 않고 일반론적인 언급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교도통신은 11일 아베 총리가 담화에 '사죄'라는 표현을 기술하는 방향으로 최종 조율 중이라고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10일에는 '침략'이란 문구를 포함할 의향을 굳혔다고 보도한 바 있다.

보도에 따르면 복수의 일본 정부·여당관계자들은 아베 총리가 앞선 대전(大戰)을 둘러싼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전체로서 계승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사죄의 마음'을 표명한 과거 담화를 인용하는 형식으로 이런 내용을 언급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밝혔다.

교도통신은 또 아베 총리가 '식민지 지배'와 '침략'도 담화에 담을 것으로 보인다고 재확인했다.

다만, 일본의 행위에 국한하는 의미가 아니라 침략 등을 허용하지 않는 국제 원칙을 앞으로도 준수하겠다는 문맥에서 거론하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침략이라는 표현은 올해 4월 아시아·아프리카 회의(반둥회의) 60주년 기념 정상회의에서 이뤄진 아베 총리의 연설을 토대로 반영될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아베 총리는 1955년 반둥회의 원칙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침략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으며 일본이 일으킨 전쟁이 침략이라고 인정하는 취지는 아니었다.

전후 70년 담화에 '통절한 반성'을 담는 것은 이미 확정됐으며 2차 대전 전후의 국제 정세에 관한 설명이 반영되기 때문에 전후 70년 담화는 무라야마 담화보다 훨씬 길어질 것이라고 교도통신은 덧붙였다.

앞서 NHK도 아베 총리가 전후 70년 담화의 원안에 '침략' '사죄' '통절한 반성' '식민지 지배'라는 단어가 모두 명기됐다고 정치권 관계자를 인용해 10일 보도했다.

NHK는 다만 과거 역사나 역대 정권의 대응을 거론하는 대목 등에 이들 표현이 모두 반영됐다고 전했다. 일본의 침략 전쟁을 사죄한다는 구체적 내용이 있는지는 보도하지 않았다.

이 같은 구상은 연립 여당인 공명당이 사죄와 침략 등 전후 50년 무라야마(村山)담화와 전후 60년 고이즈미(小泉)담화의 핵심 단어를 반영하라고 요구한 것과 한국이나 중국과의 외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보도 내용대로라면 식민지 지배와 침략, 사죄의 표현이 담화에 담기더라도 아베 총리 자신이 사죄의 뜻을 표명했는지 모호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