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동포사회 분석한 '재일 한인 디아스포라' 출간
민단·재일연합회 등 재일단체 통합 통한 발전안 모색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재일동포사회를 이끄는 친한국 성향의 대표 단체를 연구한 도서가 발간돼 주목을 받고 있다.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의 지충남 연구교수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이하 민단)과 재일본한국인연합회(이하 재일연합회)를 중점적으로 분석한 연구도서 '재일 한인 디아스포라'(마인드탭, 336쪽)를 최근 펴냈다.
지 교수는 "일본에 거주하는 90만 명의 재일동포는 차별과 박해의 표본"이라고 전제한 뒤 "이들을 단결시키고 이익을 대변하며 친목 도모 등에 앞장서온 민단과 재일연합회에 대한 첫 체계적인 연구 결과물"이라고 소개했다.
이 책은 ▲재일동포 이주사 ▲민단과 재일연합회의 결성과 변천과정 ▲조직 구성과 실태 ▲설문조사를 통한 회원들의 인식 ▲내재한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지역 연대에서부터 모국 연대 나아가 한민족 연대로의 발전 가능성 ▲재외국민 선거권과 정치 성향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을 다루고 있다.
지 교수는 책에서 "구정주자(올드커머)는 한국어를 어느 정도 구사하며 모국 지향이 강한 1∼2세대와 우리말이 서툴며 현지화하고 있는 3∼4세대로 나뉜다"면서 "상대적으로 일본사회에 더 잘 적응하고 있지만 한인사회 활동에 소극적인 3∼4세대를 어떻게 끌어안을 것인가에 단체의 미래가 달렸다"고 진단했다.
이어 "20만 명에 이르는 신정주자(뉴커머)를 대변하는 재일연합회는 그동안 민단으로부터도 올드커머가 아니라는 이유로 무관심의 대상이었고 고국에서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면서 "모국과의 연결 고리가 강한 뉴커머는 올드커머보다 차별의 경험이 적기 때문에 단체 활동에도 소극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일본에 거주하는 한민족이라는 보편적 측면에서 볼 때 올드커머와 뉴커머의 구분은 동포사회의 단합을 저해하는 요소"라며 "민단과 재일연합회의 통합이 장기적으로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양 단체가 통합되면 ▲독도 ▲역사 교과서 ▲일본군 위안부 등 일본 반한 정책에 적극적 대처가 가능해지며 나아가 ▲지방참정권 획득 ▲인권 침해 개선 ▲노인연금 미지급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지 교수는 "▲한인단체 회원의 고령화 ▲차세대의 정체성 약화와 귀화자 증가 ▲동포단체 활동의 소극성 ▲조직의 정체와 내부 갈등 등은 재일동포뿐만 아니라 전 세계 모든 한인단체가 직면한 문제"라며 "본 연구서를 시작으로 더욱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이어져 동포사회가 모국과 상생 발전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