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F 회원국들, 北도발 반대·완전한 비핵화 기대"(종합)

편집부 / 2015-08-07 19:22:51
의장성명에 수렴 예상…아세안도 "완전·검증가능 비핵화"
△ 윤병세 외교부 장관,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등이 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푸트라세계무역센터에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에 앞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ARF 회원국들, 北도발 반대·완전한 비핵화 기대"(종합)

의장성명에 수렴 예상…아세안도 "완전·검증가능 비핵화"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말레이시아에서 최근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회의에서 회원국 외교장관들이 북한 도발에 분명히 반대 입장을 밝히며 대화를 통해 완전한 한반도 비핵화가 이뤄지기를 기대했다고 외교부가 7일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ARF 회원국 외교장관들은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등 국제 의무를 준수하고 2005년 9·19 공동성명 상의 공약을 이행할 것도 촉구했다.

북한을 비롯한 6자회담 당사국과 아세안(ASEAN) 등이 참여하는 지역 안보 협의체인 ARF는 전날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외교장관 회의를 열어 북핵 문제를 비롯한 여러 전통·비전통 안보 이슈를 논의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북한이 핵·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해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데 국제사회가 단호한 메시지를 보낼 것을 촉구하며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보인다면 6자회담을 재개해 북한의 보다 밝은 미래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의장국 말레이시아는 각국 외교장관들의 이런 의견을 수렴해 조만간 회의 결과를 정리하는 의장성명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 ARF 의장성명에는 북한의 인권문제 반영을 시도하는 등 예년보다 진전된 표현을 담으려고 한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북한 측이 이런 내용에 강하게 반발할 것으로 예상돼 최종 문안이 어떻게 조율될지는 미지수다.

북한 리수용 외무상은 ARF 연설에서 "독립적 주권국가가 최대 핵무기국가의 적대성에 노출돼 있을 때 다른 선택지는 없다"며 핵·경제 병진 노선을 정당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핵·북한 문제뿐만 아니라 이번 회의의 최대 현안인 남중국해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 회원국들이 의견을 조율하느라 의장성명은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고 있다.

윤병세 장관은 회의에서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서는 "주요 해상교통로인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정, 항행 및 상공 비행의 자유 보장은 우리에게도 중요한 문제"라며 최근 상황 전개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윤 장관은 남중국해 당사국 행동선언(DOC)의 완전하고 효과적인 이행과 남중국해 행동규칙(COC)의 조속한 체결도 기대했다.

아세안(ASEAN) 10개국들도 6일 오후 발표한 아세안 외교장관 회의(AMM) 공동성명에서 "(장관들은) 평화적 방식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통일을 위한 길을 닦을 6자회담의 조기 재개와 지속적인 남북대화를 위해 필요한 여건 조성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한반도에서의 신뢰구축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북한이 모든 관련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2005년 6자회담의 9·19 공동성명 공약을 완전히 준수하기를 독려했다"고도 밝혔다.

아세안 관련 연례 외교장관회의 일정을 마무리한 윤병세 장관은 7일 저녁 늦은 시각 귀국할 것으로 전해졌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