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특구 조성·선도 시범마을 10곳 운영
![]() |
△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7일 오후 제주웰컴센터에서 열린 제주 전기차 중장기 종합계획 도민공청회가 열린 가운데 토론자들이 전기차 정책과 제도, 보급 인프라, 특구지정, 전력 문제 등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2015.8.7 bjc@yna.co.kr |
2030년 제주 '전기차 섬' 된다…37만7천대 보급
도, 전기차 중장기 계획안 마련…2조8천억 투입
전기차 특구 조성·선도 시범마을 10곳 운영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오는 2030년까지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해 제주도를 세계적인 '전기차 섬'으로 가꾸는 야심 찬 계획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7일 오후 제주웰컴센터에서 '바람으로 달리는 전기자동차의 글로벌 메카 제주, 전기차 중장기(2015∼2030) 종합계획(안)'을 발표하고 도민 공청회를 했다.
이 계획은 2030년까지 도내에서 운행하는 37만7천대의 모든 차량을 풍력과 태양광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차로 전환하는 것이다.
계획에 따르면 오는 2017년까지 도내 운행 차량의 10%인 총 2만9천대를 전기차로 전환한다. 여기에는 지난 2011년 전기차 선도도시 선정 이후 올해 말까지 보급이 완료되는 2천930대의 전기차가 포함된다. 도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를 전기차 산업생태계 태동기로 설정했다.
전기차 글로벌 플랫폼 구축기인 2018년부터 2020년까지는 추가로 10만6천대의 보급해 총 13만5천대를 전기차로 바꾼다. 이는 도내 운행 차량의 40%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전기차 자생적 산업생태계 구축기인 2021년부터 2030년까지 24만2천대를 추가로 공급해 최종적으로 총 37만7천대를 전기차로 전환한다.
전기차 민간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한다.
도는 2020년까지 환경부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원제도에 따라 민간 보급을 하고, 이후에는 자동차 제조사와의 협상을 통해 가격을 인하하는 방식으로 민간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차 구입 전용의 다양한 할부·리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기부담금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는 금융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저탄소협력금제를 활용해 전기차를 보급하는 방안도 2021년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전기차 선도 시범마을도 지정해 육성한다. 공동주택, 주거밀집지역, 자연마을 중심으로 올해부터 2020년까지 모두 10개 마을을 지정한다. 이들 마을에는 공동이용 전기차 구매, 공용충전소 설치 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준다.
다만, 전기차 보급으로 도내 차량이 증가하지 않도록 기존 차량을 폐차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매매해 말소하는 것을 전제로 한 보급 정책을 우선 추진한다. 전기버스 등 사업용 자동차 보급을 활성화하고 카 셰어링 제도 활성화 등을 통해 승용차 증가를 억제한다.
전기차 보급 확대의 선행조건인 충전인프라도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2017년까지 완속충전기 1만9천270기, 급속충전기 2천110기를 설치한다. 이후 2020년까지 완속충전기는 6만7천530기로, 급속충전기는 5천615기로 각각 늘린다. 2030년까지 완속충전기는 12만2천189기로, 급속충전기는 1만6천28기를 각각 확대한다.
민간 유료충전서비스 사업 모델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24시간 충전인프라를 늘리고, 이동형 충전기 사용제도도 도입한다.
2017∼2018년에는 주거 및 상업시설 밀집지역 1곳에 풍력과 태양광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주차타워를 시범적으로 건설한다. 5층 규모의 이 충전주차타워에는 140면의 주차면에 115기의 충전기를 설치해 유관 상업시설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제주를 전기차 특구로 조성해 전기차의 전 주기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한 전기차 글로벌 플랫폼을 개발한다. 에너지 분야 신산업 창출과 세계 진출 교두보로서 역할을 하도록 할 계획이다.
전기차 신산업 및 전후방 연관 산업 육성에도 힘쓴다.
화석연료 차량 관련 업종의 기업들이 전기차 전후방 산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지원해 전기차 전문기업으로 육성한다.
전기차와 충전기 통합 콜센터를 운영해 전기차와 충전기 활용 방안을 안내하고, 관련 질문에 답변을 제공하며, 현장 출동서비스도 제공하도록 한다.
전기차와 충전인프라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전기차·충전기 관리체계를 갖추고 글로벌 테스트 베드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에게 운행정보, 충·방전 정보, 충전인프라 현황 등 토털서비스를 제공한다.
국제전기차엑스포를 글로벌 엑스포로 발전시키고, 전기차 에코랠리를 세계 최고의 전기차 랠리로 육성한다. 매월 5월 6일은 '전기차의 날'로 지정해 전기차에 대한 이미지를 높인다.
국책과제를 발굴하고, 국내외 인증기관도 유치한다.
먼저 전기차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전기차 맞춤형 안전검사기준을 마련하고, 전문 안전검사센터도 구축한다.
전기차, 충전기, 배터리 관련 국내외 인증기관을 유치한다. 현재 인증기관이 없는 배터리 재활용 분야의 인증기관은 신설을 추진한다.
전기차 배터리 자원화사업 육성지원센터를 건립해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기술을 표준화하고 인증 기준도 정립한다.
전기차 에코 드라이빙 체험센터를 조성하고, 516도로와 1131번 지방도에 전기차 체험도로(회생제동 구간)를 운영한다. 전기차 수리 시스템 정립과 보험체계 개선에도 나선다.
전기차 보급과 이용 활성화 지원 및 연관 산업 육성을 위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조례를 제정하고, 전기차 보급 및 이용 활성화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는 각종 법령 및 제도를 개선한다.
도는 이들 9대 전략과제 35개 세부실천과제 추진에 총 2조8천117억원을 투입한다. 자금별 규모는 국비 1조5천625억원(55.6%), 도비 5천486억원(19.5%), 기타(민자) 7천6억원(24.9%)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연간 이산화탄소 90만4천t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소나무 655만9천 그루를 심은 효과와 맞먹는다.
연간 유류비와 에너지 비용은 각각 9천48억원, 1천783억원 절감된다. 탄소배출권 구매비용은 91억3천900만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온실가스 배출 감소 효과는 788억5천600만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연도별 세부실천계획을 수립해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2017년에 보완계획을 수립하겠다"며 "바람으로 가는 전기차로 제주를 바꾸고 그 힘으로 대한민국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