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러와 자국 우주인 우주정거장 운송 계약 연장(종합)

편집부 / 2015-08-06 17:04:29
"2017년 종료 계약 2019년 초까지 연장…약 5천700억원 지불키로"


미, 러와 자국 우주인 우주정거장 운송 계약 연장(종합)

"2017년 종료 계약 2019년 초까지 연장…약 5천700억원 지불키로"



(서울·모스크바=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유철종 특파원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미국인 우주 비행사를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보내는 러시아연방우주청(로스코스모스)과의 운송 계약을 연장했다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NASA는 의회 예산 삭감으로 우주비행사 자체 수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러시아와의 계약을 2019년 초까지 연장하기로 했다고 설명하면서 새 계약 규모는 4억9천만 달러(약 5천700억원)라고 소개했다.

NASA가 러시아에 지급하는 운송료는 우주인 1명당 약 8천만 달러로 알려져 새 계약은 우주인 6명을 ISS로 보낼 수 있는 금액이다.

미국과 러시아가 체결한 현 운송 계약은 2017년 말이면 종료돼 이번 계약은 사실상 2018년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지난 2011년 자체 우주왕복선이 모두 퇴역하고 2012년 7월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이 종결된 이후 우주비행사 수송을 러시아 소유스 우주선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미국 우주당국은 현재 값비싼 러시아의 운송 서비스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주항공 전문 기업 보잉과 민간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에 의뢰해 2017년 발사를 목표로 자체 유인 우주선을 개발 중이다.

찰스 볼든 미국 항공우주국장은 그러나 이날 의회에 보낸 서한에서 "2016년도 예산이 확보되지 않으면 보잉과 스페이스X가 2017년 말까지 우주비행사를 우주로 보낼 능력을 갖추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의회가 예산을 삭감해 상업적 수송 프로그램이 계획했던 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며 "미국은 계속해서 러시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구 상에서 가장 위대한 나라인 미국이 인간을 우주로 보내려고 다른 나라에 의지하는 상황"이라며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하지만 공화당은 오히려 NASA 예산을 2억5천만∼3억 달러(약 2천930억∼3천500억원) 삭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제2의 냉전을 방불케 하는 갈등을 겪고 있는 미국과 러시아는 우주 분야 협력은 완전히 접지 않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지난달 말 2024년까지 ISS 운용에 참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그동안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서방과의 갈등으로 2020년 이후까지 ISS 운영을 연장하자는 미국 측의 제안에 부정적 입장을 취해 왔다. 러시아는 2020년까지만 ISS 운영에 참여한다는 입장이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