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원선 철도복원 침목 서명 (철원=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5일 강원도 철원군 백마고지역에서 열린 경원선 남측구간 철도복원 기공식에서 철길 침목에 서명하고 있다. |
철원 백마고지역서 '경원선 남측구간' 기공식
경원선 남북운행 재개하면 유라시아 철도망 구축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70년 전 남북 분단으로 끊어진 경원선 철도가 남측 구간부터 복원공사에 들어갔다.
정부는 5일 오전 강원도 철원군 백마고지역에서 박근혜 대통령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원선 복원공사 1단계 백마고지∼월정리 구간 기공식을 개최했다.
박 대통령은 "경원선이 복원되면 여수와 부산에서 출발한 우리 기차가 서울을 거쳐 나진과 하산을 지나 시베리아와 유럽을 연결하게 된다"며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진군을 알리는 힘찬 기적 소리가 한반도와 대륙에 울려 퍼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원선은 1914년 8월 개통돼 용산∼원산간 223.7㎞를 운행하며 물자수송 역할을 담당했으나 1945년 남북분단으로 단절됐고 6·25 전쟁으로 남북 접경구간이 파괴됐다.
경원선은 수도권에서 시베리아횡단철도(TSR)를 잇는 최단거리 노선이다.
이 때문에 경원선이 한반도 종단열차로서 남·북한 운행을 재개하면 시베리아횡단철도와 연계돼 전체 유라시아 철도망이 구축되는 것이다.
경원선 신탄리∼백마고지역(5.6㎞) 구간은 2012년 11월 먼저 복원됐다.
정부는 경원선 남측 구간에 남아있는 백마고지역∼군사분계선 11.7㎞ 복원공사를 확정하고 백마고지역∼월정리역(9.3km) 구간 공사를 1단계로 착수한다.
비무장지대(DMZ)에 있는 월정리역∼군사분계선(2.4km) 2단계 구간은 공사 착공 전 북한과 협의가 필요하다.
1·2단계 총 건설사업비 1천508억원은 전액 남북협력기금으로 지원된다.
경원선 북측 구간 역시 공사가 필요하며 협의가 이뤄지면 남측에서 자재와 장비를 지원할 전망이다.
정부는 경원선 남측 1단계 구간이 완성되면 생태·안보관광 활성화로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원래의 경원선은 철새도래지와 태봉국 도성 터를 지나기에 노선을 동쪽으로 이동해 건설하며 준공 후 관광객 출입이 편하도록 민통선을 조정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경원선 남측구간 복원사업은 지뢰 제거, 철새도래지와 문화재 보존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토교통부와 통일부는 물론 국방부, 환경부 등 관계 부처가 긴밀히 협조할 방침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