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2:00

편집부 / 2015-08-05 12:00:03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2:00



■ 내일 '롯데사태' 당정회의…재벌 지배구조 개선 추진



롯데그룹 총수 일가의 경영권 분쟁을 계기로 당정이 재벌 지배구조 개선책 마련을 추진한다.정부와 새누리당은 내일 오후 김정훈 정책위의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대기업 지배구조 관련 개선책을 협의한다.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 등 정부 당국 관계자들이 '롯데 사태'로 불거진 문제점을 보고할 예정이다. 회의에선 416개에 달하는 롯데의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하기 위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이 중점적으로 다뤄진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신규 순환출자를 금지하고 있지만, 롯데처럼 기존의 순환출자에 대해선 별도로 금지하고 있지 않다. 김 정책위의장은 당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순환출자 금지를 규정한 공정거래법이 개정된 지 2년이 지난 만큼 대기업 지배구조 문제를 한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보기: http://goo.gl/LLNel0





■ 고용부, 내년 최저임금 시급 6천30원 고시



고용노동부는 오늘 내년도 최저임금을 시간당 6천30원으로 결정해 고시했다. 시간급을 일급(8시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4만 8천240원이며, 월급으로는 주 40시간제의 경우(유급 주휴 포함, 209시간 기준) 126만 270원이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임금이 오르는 저임금 근로자는 전체 임금 근로자의 18.2%인 342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올해 최저임금 대비 인상률은 8.1%다. 2010년 이후 연도별 최저임금 인상률은 2.75%(2010년), 5.1%(2011년), 6.0%(2012년), 6.1%(2013년), 7.2%(2014년), 7.1%(2015년)다.고용부는 최저임금 준수율 제고를 위해 취약 사업장을 중심으로 지도·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전문보기: http://goo.gl/fZzaIc



■ 文, 권역별 비례제-오픈프라이머리 '빅딜' 제안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오늘 "새누리당이 권역별 비례대표를 수용한다면 우리 당도 오픈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를 당론으로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꽉 막힌 여야 논의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국회의원정수 유지'를 전제로 두 제도의 '빅딜'을 공식적으로 제안한 것이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전날에도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견지함에 따라 성사 전망은 불투명해 보인다. 여름휴가를 끝내고 복귀한 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 선거구 획정기준 등 3가지를 여야가 함께 논의해 일괄타결하자고 제안했다.



전문보기:http://goo.gl/DGB3jy



■이희호 여사 방북…"분단 70년 아픔과 상처 치유 원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는 오늘 방북 길에 오르면서 분단 70년의 아픔과 상처를 치유하기를 희망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 여사와 함께 방북하는 김성재 전 문화부 장관은 김포공항 귀빈주차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여사는 '우리 민족이 분단 70년의 아픔과 상처를 치유하고 6·15 정신으로 화해하고 협력해 사랑하고 평화롭게 서로 왕래하면서 사는 민족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평양을 간다'고 했다"고 밝혔다.김 전 장관은 "여사님의 방문이 여사님만이 아니라 계속해서 대화와 왕래, 교류협력의 길이 되길 바라는 마음을 전하셨다"고 말했다. 김 전 장관은 "김대중 대통령은 방문 때 '이번 저의 평양 방문이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계속해서 지속적으로 대화와 만남이 이어지는 길이 되어야 된다'고 말했다"며 "이 여사도 같은 마음으로 (이번에) 평양을 간다"고 전했다.



전문보기: http://goo.gl/0VuDgH



■ 박 대통령, 내일 대국민담화서 4대 개혁 의지 재천명



박근혜 대통령이 임기 반환점(25일)을 앞두고 내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임기 후반기 국정 구상을 직접 밝힌다. 박 대통령의 담화 발표는 이번이 네 번째로 지난해 5월19일 세월호 관련 국가운영 방안 담화를 발표한 지 1년 2개월 만이다.이번 담화의 핵심 키워드는 '공공·노동·금융·교육 등 4대 개혁'과 '속도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개혁 드라이브의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대국민 호소인 셈이다.청와대 핵심관계자는"노동개혁을 포함해 개혁 과제에 대해 이야기를 하시고 개혁의 필요성에 대해 국민에게 호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박 대통령은 개혁 추진의 배경과 필요성, 방향을 조목조목 설명하면서 개혁 추진 과정에 국민도 동참해달라고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보기: http://goo.gl/jGn2kF



■ "주차·택시·숙박비탓 국내여행 싫어"…불만의 절반



국내여행에서 국민이 느낀 가장 큰 불만사항은 주차비, 택시비, 숙박비 등 요금 문제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013년 1월부터 지난 7월까지 국민신문고에 접수된 국내여행 관련 민원 1천73건을 분석한 결과를 오늘 공개했다. 민원 유형을 보면 주차비(76건), 택시비(64건), 숙박비(59건) 등 요금 관련 민원이 448건으로 전체의 41.7%를 차지했다.주요 사례를 보면 여행 중 공영주차장에 들어갔다가 주차 공간이 없어 나오는 차량에 주차비를 받은 경우가 있었다. 또 카드 사용이 가능하다고 표시가 돼있는 택시를 탔는데 카드를 받지 않는다면서 현금이 없다면 카드비에 해당하는 만큼 담배를 사오라고 요구한 황당한 경우도 있었다.



전문보기: http://goo.gl/dV9EeK



■ "국내 소비자, 스마트폰 평균 1년2개월만에 바꾼다"



국내 소비자들은 스마트폰을 평균 1년2개월만에 바꾼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오늘 공개한 '휴대전화 평균사용기간 및 교체시기 분석' 제하의 보고서에서 국내 소비자들의 휴대전화 단말기 평균 사용 기간이 1년7개월인 반면 스마트폰은 이보다 훨씬 짧은 1년2개월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KISDI가 작년 5월15일부터 9월2일까지 전국 4천313가구와 해당 가구 내 만 6세 이상 구성원 1만172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4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를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일 이전에 조사가 완료돼 단통법 영향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분석 결과 전체 응답자 가운데 9천413명이 휴대전화를 보유하고 있다고 답해 휴대전화 보유율이 92.4%로 나타났으며 평균 사용기간은 1년7개월로 조사됐다.



전문보기: http://goo.gl/W630TS



■ 역사학계 "일본 정부, 위안부 문제 조속히 해결하라"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한국여성사학회 등 주요 역사학회는 오늘 일본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와 과거사 문제를 조속히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역사학을 연구하는 학회 20개가 속한 전국역사학대회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과거사를 부정하려는 태도를 버리고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의 계승 의지를 확고히 천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전쟁 기간에 일본 정부는 피해자들을 위안부로 동원해 자신의 의사와 무관하게 반복적으로 성폭력 피해를 입혔다"며 "일본 정부는 더 이상 진실을 부정하거나 왜곡하지 말고 피해자에 대한 진정 어린 사과와 보상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보기: http://goo.gl/nwIkgH



■ 메르스 환자 2주만에 1명 퇴원…신규 확진자는 31일째 '0'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서 완치돼 퇴원한 환자가 2주만에 나왔다. 신규 환자는 31일째 발생하지 않았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오늘 172번(61·여) 환자가 퇴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메르스 감염 후 퇴원해 사회로 돌아간 환자는 지난달 22일 이후 한동안 나오지 않았었다. 이 환자는 대청병원에서 근무한 전문 간병인으로 6월22일 확진 환자로 추가된 뒤 40여일간 병원에 입원해 있었다. 메르스 신규 환자와 추가 사망자는 이날도 발생하지 않아 총 환자 수 186명, 사망자 수 36명을 각각 유지했다. 신규 환자는 발표일을 기준으로 지난달 6일부터 31일째, 사망자는 같은달 12일 이후 25일째 발생하지 않았다.



전문보기: http://goo.gl/d2ZZhs



■ '진짜 김일성' 김경천 장군 후손 등 11명 특별귀화



법무부는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독립유공자 후손 11명에게 특별귀화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부여한다고 오늘 밝혔다. 대상자는 김경천 장군, 이위종 지사, 이인 초대 법무부 장관의 후손이다. 김경천 장군은 항일 독립운동의 근거지였던 만주와 연해주에서 무장 항일투쟁을 이끌어 '백마탄 김 장군'으로 불렸다. 북한 김일성 주석이 그의 항일투쟁 경력과 이미지를 도용했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다.이위종 지사는 이준 열사와 함께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로 파견돼 을사늑약의 무효를 역설하고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이인 초대 법무부 장관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무료 변론을 통해 독립운동을 지원했다.이들에 대한 국적증서 수여식은 12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다.



전문보기: http://goo.gl/Dw2zgR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