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보다 인천이 먼저"…인천시, 표기순서 수정 건의
경기만→인천만, 경기 인천→인천 경기 변경도 추진
(인천=연합뉴스) 강종구 기자 = 인천시가 '지역 정체성 찾기' 사업의 하나로 광역시 표기 순서를 수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각종 공문에 표기되는 '서울·부산·대구·인천' 순서를 '서울·부산·인천·대구'로 바꾸는 것이 목표다.
4일 인천시와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 표기 순서는 지방자치법 2조에 따라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특별자치도 순으로 돼 있다.
그러나 같은 광역시끼리 순서를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정은 없다.
행자부는 광역시 출범시기와 도시 인구, 경제규모 등을 고려, 특별·광역시를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 순으로 표기해 왔다. 다른 부처도 행자부의 표기 순서를 준용하고 있다.
인천시는 1981년 7월 1일 대구시와 함께 직할시로 출범할 당시만 해도 모든 경제지표에서 대구가 인천을 앞질렀지만 이제 상황이 역전됐기 때문에 표기 순서도 인천·대구 순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981년 인천의 인구와 면적은 114만명, 201㎢로 대구의 183만명, 454㎢보다 열세였다.
그러나 지난 3월 기준 인구는 인천이 296만명, 대구가 251만명이다. 면적은 인천이 1천46㎢, 대구가 883㎢이다. 2013년 지역총생산(GRDP)도 인천이 64조6천억원으로 대구 44조8천억원을 압도한다.
인천은 1995년 경기도 강화군을 편입하고 2000년대 들어 송도·영종·청라 등 경제자유구역을 개발하며 인구와 면적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인천시는 핵심 경제지표 면에서 인천이 대구를 모두 앞서고 있다며 정부부처 공문서의 수신기관 표기, 각종 통계자료·지표에 '인천·대구' 순서로 표기해달라고 행자부에 공문을 보내 건의했다.
인천시는 이와 함께 '경기만' 명칭을 '인천만'으로 변경해 달라고 국립해양조사원에 건의했다.
시는 인천·경기 앞바다 대부분이 중구·옹진군 해역인데도 이 해역이 경기만으로 표기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국가지명위원회에서 경기만을 인천만으로 변경하는 안건을 심의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해달라고 말했다.
시는 아울러 '경기·인천'으로 통용되는 표기도 '인천·경기'로 수정될 수 있도록 중앙부처·교육기관·언론사 등 관계기관에 요청했다.
인천시의 이런 일련의 움직임은 인천시 출범 이후 최초의 인천 출신 시장인 유정복 시장이 취임한 이후 가속화하고 있다.
유 시장은 '인천의 가치 재창조'를 민선6기 핵심사업으로 설정하고, 관행으로 굳어진 비정상을 정상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유 시장은 최근 확대간부회의에서 "인천·경기를 언급할 때 경기·인천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부산경남, 광주전남, 대전충청을 거꾸로 얘기하는 경우가 있느냐"며 "공무원 스스로 이런 비정상을 어떻게 정상으로 바꿀 것인지 고민해야 인천의 가치 창조가 시작된다"고 강조했다.
인천시는 표기순서 수정을 정부에 지속 건의하는 한편, 우선 시 자체적으로 공문상 표기를 바꾸고 외부기관의 동참을 유도할 방침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