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학자 "日, 과거 직시해야 동북아 문제 해결"(종합)

편집부 / 2015-08-03 16:52:09
"현안에 따라 소다자주의 활발히 운용해야"
고려대서 '70년의 분단과 동북아 100년의 미래' 동아시아공동체포럼


한중일 학자 "日, 과거 직시해야 동북아 문제 해결"(종합)

"현안에 따라 소다자주의 활발히 운용해야"

고려대서 '70년의 분단과 동북아 100년의 미래' 동아시아공동체포럼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지난 70년간 커다란 변화를 겪은 동북아시아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단 일본 정부가 과거를 직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을 지낸 다나카 히토시(田中均) 국제전략연구소 이사장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가 중국 칭화대 당대국제관계연구원, 일본 도쿄대 현대한국연구센터, 동북아역사재단과 함께 3일 서울 고려대 백주년기념관에서 '70년의 분단과 동북아 100년의 미래'를 주제로 개최한 제5회 동아시아공동체포럼 라운드테이블에서 이같이 말했다.

다나카 이사장은 "동북아에서 힘의 균형이 크게 바뀌었고 국가주의와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이 대두되고 있다"고 진단한 뒤 "일본 정부는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인해 아시아 국가가 큰 피해를 입었고 이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고 싶다는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해야 한국, 중국과 무너진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유럽처럼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기보다는 한반도,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아시아태평양 등 4개의 권역을 나누고 각각의 틀에 맞는 논의 체제를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젠(陳健) 전 중국 외교차관보도 "아베 총리는 임기 내에 헌법을 개정해 일본이 안보 분야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사명감에 사로잡혀 있다"며 "미국의 비호 아래 군사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은 잘못된 판단"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중·일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안보 대화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한 고려대 교수(전 외교부 차관)는 동아시아 갈등의 해법으로 소다자주의를 내세웠다.

그는 "동맹과 다자 안보 협력 모두 강대국 위주의 지역정치 흐름이나 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므로 현안에 따라 한·미·일, 한·중·일, 한·미·중 등 소다자주의를 활발히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라운드테이블에 이어 열린 세션별 토론에서도 일본 정부의 역사 인식에 대한 지적이 제기됐다.

가쓰라지마 노부히로(桂島宣弘) 일본 리쓰메이칸대 교수는 '근대 일본의 아시아주의-'흥아'(興亞)론의 함정'이란 주제 발표에서 "근대 일본의 전쟁 책임, 식민지 지배 책임을 부정하려고 하는 '전후 70년의 아베 담화'가 발표됨으로써 일본은 완전히 아시아의 고아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제국주의에 기반을 둔 일본의 아시아주의에 대해 비판하면서 "동아시아에서 공유될 수 있는 가치를 어떻게 구축하고 발신해 나갈지 진지하게 물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젠중(舒建中) 난징대 교수는 일본의 역사 수정 움직임과 미국의 압력이 한·중·일 관계 제도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라고 분석하면서 "삼국은 삼자 협정을 체결하고 원칙과 규칙, 프로세스를 규정한 후 전면 협력 관계를 완성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조태용 외교부 1차관은 기조연설에서 "그간 전후 질서의 기반이 되어온 역사 인식을 엄중히 계승하고 이를 거울삼아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면, 삼국간 협력은 순풍을 받을 것"이라며 일본 정부의 역사 인식을 우회적으로 지적했다.

이날 포럼에는 최원식 인하대 명예교수, 류장용(劉江永) 칭화대 교수, 고바야시 소메이(小林聰明) 니혼대 교수, 박인원 고려대 교수, 현무암 홋카이도대 교수 등이 동북아의 현황을 살피고 해법을 제시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