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432억원 붓고도 '개점휴업'

편집부 / 2015-08-03 16:02:11
연구장비.인력 태부족…메르스에도 내년 예산 되레 '뚝'
연구소 운영형태 둘러싼 논란도 '발목'
△ 국내 유일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개소 (익산=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13일 전북 익산시 월성동 전북대 익산캠퍼스에 개소한 인간과 동물을 모두 감염시키는 '인수공통전염병'의 치료·예방을 위한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2015.8.3 kan@yna.co.kr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432억원 붓고도 '개점휴업'

연구장비.인력 태부족…메르스에도 내년 예산 되레 '뚝'

연구소 운영형태 둘러싼 논란도 '발목'



(전주·익산=연합뉴스) 백도인 기자 = 아시아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3일 문을 열었지만 당분간 개점휴업 상태를 벗어나기 어려울 전망이다.

정부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연구 장비와 인력 부족 현상이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연구소의 운영 형태를 둘러싼 전북대와 지역 정치권의 현격한 견해차도 정상화를 앞당기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 연구소는 국가적 재난인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나 조류인플루엔자(AI), 광우병과 같이 사람과 동물 사이에 전파되는 전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시설이다.

대규모 시설과 인력을 갖추고 체계적인 치료와 예방법을 연구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2006년부터 추진돼 2013년 완공됐다.

국비 371억원 등 모두 432억원을 투입해 아시아 최대 규모의 동물 실험이 가능한 차폐 동물실험동 등을 갖췄다.

그러나 완공된 지 2년이 다 됐지만 실질적인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외형만 만들어졌을 뿐 정작 연구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은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북대는 최소 45명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정부의 미온적인 태도로 현재 6명을 확보한 데 그치고 있다.

이 가운데 전문 연구인력은 4명에 불과하다.

수백억원이 투입된 시설이지만 인원만 놓고 보면 사설 연구소 수준인 셈이다.

연구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갖추려면 최소 270억원이 있어야 하지만 현재까지 반영된 예산은 고작 30억원이다.

획기적인 예산 지원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장비 구축에 몇 년이 더 걸릴지 알 수 없는 형편이다.

별도의 연구개발비와 운영비도 거의 없다.

더구나 올해 메르스 사태로 연구소의 역할이 더욱 주목받은 상황인데도 내년도 예산은 오히려 올해보다 줄어 앞날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연구소 정상화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할 전북대와 지역 정치권은 '적전분열' 양상을 보이며 서로 힘을 빼고 있다.

전북대는 '전북대 부설 연구기관' 또는 '연구법인'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도내 국회의원들은 '국가 연구기관'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회의원들은 "국책 연구기관이 되면 예산 확보가 훨씬 쉽다"는 논리로 전북대를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전북대는 "특정 부처의 산하 기관이 되면 범부처적인 지원을 받을 수 없고 '다부처 융합과 협력'이 생명인 연구소의 기능도 살리기 어렵다"며 난감해하고 있다.

접점을 찾지 못하면 예산 확보에 엇박자를 낼 수밖에 없고 정상화의 길은 더욱 멀어지게 된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는 대목이다.

이남호 전북대 총장은 "연구소는 국가적 재난인 각종 인수공통전염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핵심 연구기관인 만큼 범정부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연구소가 하루빨리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에 대한 설득작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장은 지역 정치권에 대해서도 "오해에서 비롯된 일로 생각한다"며 "충분한 설명을 통해 견해차를 좁혀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