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北, 매우 수세적…대화부재 책임 한미에 전가"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북한이 최근 주요국 주재 대사들을 통해 핵포기를 위한 대화를 거부하며 한미합동군사훈련 중단을 요구하는 것은 협상 부재의 책임을 한·미에 전가하려는 시도라고 정부 당국자가 30일 지적했다.
정부 당국자는 이날 "우리의 아무 조건 없는 탐색적 대화 제의가 지속되는 가운데, 이란 핵 협상이 타결되고 북핵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압력이 높아지자, (북한은) 이란과 전혀 다르다고 강변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대화와 협상 부재의 책임을 한미에 전가하려는 매우 수세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의 최근 동향과 관련해 "주요국 주재 대사들이 연이어 똑같은 내용의 기자회견을 하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라고도 진단했다.
이란 핵협상 타결 이후 북핵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다시 고조되자 북한 외무성은 21일 "우리는 실정이 완전히 다르다"며 핵무기 포기 불가 입장을 재확인한 바 있다.
이어 28일 지재룡 주중국 대사와 장일훈 주유엔차석대사가, 29일 서세평 주제네바대사와 김형준 주러시아대사가 잇따라 기자회견 또는 인터뷰에 나서 대화 부재의 원인을 미국의 적대시정책에 돌렸다.
30일에는 북한 외무성 대변인과 조선중앙통신사 기자의 문답을 통해 "미국이 합동군사연습 같은 적대행위를 그만두고 다른 길을 갈 결단을 내린다면 대화도 가능해지고 많은 문제들이 풀릴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은 동북아협력대화(NEACD), 유럽 모 연구기관 주최 세미나 등을 계기로 한 우리의 조
건 없는 탐색적 대화 제의를 거부하는 등 5자와 일체의 핵관련 대화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전통적 우방이라 할 수 있는 중국과의 대화도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내심을 갖고 북한과의 의미 있는 비핵화 대화를 지속 추진할 것이며 탐색적 대화에는 아무런 조건도 없다"며 "북한의 조속한 호응을 촉구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