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비관세장벽 해소 위한 대규모 DB 구축
(세종=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A 기업은 미국으로 캔디를 수출했지만 제품 라벨에 필수 기재 사항인 영양소 정보를 표시하지 않아 통관이 거부됐다.
또 다른 기업체 D사는 일본에 수출하려 한 냉동 비빔밥의 세균수가 일본 기준을 초과해 제품을 전량 폐기해야 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이 같은 비관세장벽으로 인한 무역 애로를 없애고 무역분쟁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수출장벽해소 DB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무역협회는 미국, 중국, EU, 일본 등 4개국의 기존 자료에 최신 통관거부 사례 DB 약 2만5천건을 추가로 구축한다.
캐나다, 호주, 대만,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러시아 등 7개국의 통관거부 사례 DB 1만건도 신규로 마련한다.
무역과 관련해 국가 간에 발생하는 통상 마찰과 기업 간 분쟁 사례 약 2천건도 DB화해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하는 '2015년 국가DB사업' 과제의 하나다.
구축된 정보는 국가무역정보포털인 통합무역정보서비스(wwww.tradenavi.or.kr)를 통해 웹과 모바일로 서비스된다. 정보를 원하는 모든 기관에도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 수출기업은 특히 비관세장벽 중 하나인 통관 거부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 중국, EU, 일본의 우리 수출기업에 대한 통관거부 건수는 작년 한 해만 1천3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통관거부가 이뤄지면 수출 기업들은 막대한 비용 손실을 입게 된다. 국가적으로도 수출 감소와 더불어 국가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이 생길 수밖에 없다.
무역협회 천진우 무역정보실장은 "쉽게 파악 가능한 관세장벽이 보이는 장벽이라면 규정이나 요건을 찾기 어려운 비관세장벽은 보이지 않는 장벽"이라며 "개별 기업이 파악하기 어려운 비관세장벽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DB화해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