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주민센터 '찾아가는 복지거점'으로 탈바꿈
주민 신청받는 방식에서 먼저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로 전환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서울시가 동(洞)주민센터를 주민밀착형 복지거점으로 바꾸고 '찾아가는 복지' 실현에 나섰다.
서울시는 이달부터 13개 자치구 80개 동을 시작으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를 운영하면서 주민의 신청을 받는 방식에서 벗어나 먼저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2일 밝혔다.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 대상에는 기존 복지대상자였던 빈곤·위기가정 외에도 65세 이상 노인과 출산 가정도 새로 포함된다.
출산가정에는 복지플래너와 방문간호사가 직접 찾아가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평가하고 육아 교육과 산후 심리검사 등을 해준다.
65세가 돼 노령층에 진입하는 노인에게는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이 방문간호사와 함께 정기적으로 찾아가 혈압과 치매 여부 등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노후복지를 안내해준다.
산후 우울도가 높은 산부나 치매·우울 위험이 있는 노인은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치료와 상담을 의뢰하는 등 사후 상담과 치료서비스도 연계한다.
복지플래너는 기초생활수급자 등 기존 복지대상자 외에도 취약 계층과 위기가정을 새로 발굴하고 이들의 욕구를 파악해 상황에 맞는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는 동주민센터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주민센터의 모든 직원은 '우리동네 주무관'이 돼 자신이 맡은 구역의 복지사각지대를 발굴하고 관련 민원을 처리한다.
동주민센터는 지역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주민들의 활동을 돕는 거점 역할도 한다. '우리동네 주무관'은 통·반장과 동네상인, 민간 복지관, 마을변호사, 세무사 등을 연계해 주민들의 활동을 지원한다.
기초연금이나 장애인 수당, 기초생활 수급 등 제도별로 나뉘었던 복지 서비스 상담도 이제는 '복지상담 전문관'으로부터 한 번에 받을 수 있다.
시는 주민센터의 기능 변화에 따라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500명과 방문간호사 106명을 충원했다. 시는 앞으로 3년 동안 2천450명을 추가로 늘리고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를 2018년까지 25개 전 자치구 423개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주민의 최접점기관인 동주민센터의 변화는 기다리는 선별적 복지가 아니라 시민 누구나 일상 속에서 복지서비스를 누리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