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가전시장서 中 급성장…韓 현상유지 급급
한경연 "사물인터넷·첨단센서 활용 프리미엄 제품 개발해야"
(서울=연합뉴스) 고웅석 기자 = 한국과 중국, 일본의 가전산업 기술 격차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의 기술경쟁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은 현상유지에 급급하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1일 '한국 가전산업의 한·중·일 국제경쟁력 비교 및 정책제언'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한국은 사물인터넷과 첨단센서 기술을 활용한 프리미엄 제품 개발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중일 3국의 기계·전자제품의 '현시비교우위지수'를 분석한 결과, 중국의 지수는 2009년 1.86에서 2013년 2.1로 12.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한국의 지수는 2009년 1.75에서 2013년 1.78로 1.7% 상승하는데 그쳤고, 일본의 지수는 2009년 1.59에서 2013년 1.56으로 소폭 하락했다.
현시비교우위지수(RC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는 세계 전체 수출시장에서 '특정상품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과 '특정국의 수출에서 해당 상품수출이 차지하는 비중' 사이의 비율로, 특정 상품의 비교우위를 판단하는 데 쓰인다. 1보다 크면 비교우위가 있다고 판단한다.
실제로, 전세계 시장에서 중국의 전자제품 수출 비중은 1992년 2%에서 2014년 32%로 급증했다. 반면 한국의 비중은 1992년 4.8%에서 2014년 6.2%로 1.4%포인트 올랐고, 일본은 1992년 19.6%에서 2014년 5.9%로 3분의 1가량 줄었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권세훈 상명대 교수는 "한중일 간에 가전산업의 기술경쟁력 우위를 가리기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만큼 더욱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며 "사물인터넷과 전자제품을 융복합한 제품과 첨단센서기술을 이용한 프리미엄 제품 등을 개발하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