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멕시코의 한 웹사이트에 탈옥한 마약왕 호아킨 구스만의 이미지가 새겨진 티셔츠와 모자 등이 상품으로 등장했다. |
멕시코에 '마약왕' 구스만 패션 상품까지 등장
돈 뿌리면서 천사처럼 탈옥하는 그림 새겨진 티셔츠도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동경 특파원 = 멕시코 연방교도소를 탈옥한 '마약왕' 호아킨 구스만의 이미지가 새겨진 패션상품이 등장했다.
멕시코 일부 온라인 사이트에 구스만의 얼굴이나 작년 체포될 당시의 모습이 담긴 모자와 반소매 티셔츠 등이 판매 상품으로 나왔다고 현지 일간 밀레니오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상품들은 키가 작은 사람이라는 뜻의 구스만의 별명인 '엘 차포'라는 패션으로 일부 구스만 지지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천사처럼 날개가 달린 구스만이 갇혀 있던 새장을 빠져나온 뒤 돈뭉치를 들고 돈을 뿌리면서 훌훌 날아가는 모습을 그린 티셔츠가 있는가 하면 고급 액자 속에 담긴 구스만의 초상화가 새겨진 티셔츠도 있다.
구스만이 멕시코 해병대에 작년 2월 검거됐을 당시 사진과 '공공의 적 1호'로 지칭한 미국 LA타임스의 보도 기사를 그대로 옮긴 티셔츠도 눈에 띈다.
또 구스만이 젊었던 시절 모자를 쓰고 두툼한 외투를 입은 사진이 새겨진 모자도 상품으로 나왔다.
가장 인기가 있는 제품은 1993년 구스만이 처음 체포된 뒤 멕시코 과달라하라 주의 푸엔테 그란데 교도소에 갇히기 직전의 사진이 담긴 티셔츠라고 밀레니오는 전했다.
어떤 티셔츠에는 젊은 나이였던 당시 구스만의 사진과 함께 '초강자' 라는 수식어가 달려 있기도 하다.
구스만이 돈뭉치를 들고 돈을 뿌리면서 날아가는 모습은 막대한 부를 축적한 그가 교도관들을 포함한 관리들을 매수해 탈옥했을 것이라는 세간의 의혹을 풍자한 것이다.
악명 높은 범죄자를 제품의 이미지에 이용한 이러한 행태는 사법당국의 처벌 대상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스만은 미국 경제지 포브스가 10억 달러 이상의 재산을 소유한 억만장자 대열에 4년 연속 포함할 정도로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스만은 지난 11일 수도 멕시코시티 외곽에 있는 알티플라노 교도소 독방에서 교도소와 1.5㎞ 떨어진 인근 벽돌 가옥까지 난 땅굴을 통해 탈옥했다고 당국이 발표한 바 있다.
그는 2001년 2월 갇혀 있던 중부 과달라하라 인근의 푸엔테 그란데 교도소에서 첫 번째 탈옥을 해 13년간 도주 행각을 벌이다가 검거돼 알티플라노 교도소에 수감된 바 있다.
경비가 삼엄한 교도소를 두 번이나 탈옥한 그의 이야기가 할리우드에서 영화로 제작될 것이라는 소문도 떠돈다.
구스만은 미국과 멕시코 당국으로부터 세계 마약조직의 두목 가운데 가장 위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도 그를 미화한 상품까지 등장한 것은 북서부 시날로아 주의 고향 사람들을 포함한 지지자들이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시날로아'라는 마약조직을 이끄는 구스만은 지역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구해주고 돈을 빌려주는 등 생계를 지원해 왔기 때문에 '로빈후드' 같은 존재로서 절대적인 지지를 얻고 있다.
심지어 엔리케 페냐 니에토 대통령이나 시날로아 주지사보다 그를 더 신뢰한다는 사람들도 있다.
이처럼 시날로아 주는 마약 범죄자가 미화되고 상품화까지 되는 일종의 '전통'이 존재하는 곳이다.
1907년 시날로아 주도 쿨리칸 일대에서 마약 거래와 강도질을 일삼다가 체포돼 39세의 나이로 사형당한 헤수스 말베르데라는 인물은 지역에서 '마약 성자'로 추앙받고 있다.
불법적인 마약 밀매로 번 돈을 지역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줘 '원조 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말베르데를 추모하는 예배당이 세워져 성역화돼 있는가 하면 그의 이름을 상표로 한 '말베르데'라는 맥주까지 나왔다.
쿨리칸의 '우마야 공원묘지'에는 2009년 멕시코 해병대에 사살된 마약조직 '벨트란 레이바'의 두목 아르투로 벨트란 레이바의 묘도 성대하게 들어서 있다.
구스만은 시날로아 지역민들에게 말베르데의 향수를 불러일으킨다는 평가를 받는다.
구스만의 탈옥 사건을 수사중인 멕시코 검찰은 구스만이 쿨리칸 외곽의 근거지에 잠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병력을 대거 파견해 수색에 나서고 있다.
멕시코 연방검찰은 구스만의 거처 등 정보를 제공하는 대가로 43억 원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구스만이 시날로아의 야산 등 요새에 잠입했다 해도 그를 옹호하는 지역민들이 수사에 쉽게 협조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