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기자동차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
비싸고 충전소 부족해 전기차 울산시민 보급 '난항'
울산시 올해 50대 민간 보급계획…시민보다 기업 위주 홍보
(울산=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 울산시가 예산을 지원해 전기자동차를 민간에 보급할 계획이지만 충전 인프라 미확보 등으로 애로가 예상된다.
울산시는 국비 10억5천만원과 시비 1억5천만원 등 총 12억원의 예산을 민간에 지원해 올해 전기자동차 50대와 충전기(완속) 50대를 보급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이에 따라 이달 중 설명회와 공고, 8월 신청자 접수, 9월 대상자 선정 공모(추첨) 절차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그러나 울산지역에는 관공서와 일부 기업 외에는 충전 인프라가 없고, 정부 지원금을 포함해도 전기차 구입 가격이 비싸 일반 시민은 전기차 매입을 꺼리는 상황이다.
울산에는 현재 관공서와 기업체에 전기자동차 17대가 보급됐고, 충전소는 18곳에 설치돼 있다.
전기차 17대 중 15대는 울산시와 구·군이 매입한 관용 차량이고 나머지 2대는 기업체가 소유하고 있어 충전소도 관공서 주차장에 16대, 기업에 2대가 설치돼 있다.
이 때문에 시민이 전기차를 구입하면 충전소가 있는 관공서나 기업에 가서 충전해야하는 실정이다.
특히 시민이 전기차를 구입해 충전소를 아파트에 설치하기는 어렵다. 아파트 입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주차장에 충전시설을 설치하려면 입주민의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는 이런 점을 고려해 전기차 보급 대상자를 충전기를 설치할 주차공간이 있는 시민, 기업 및 법인, 단체로 한정한 상태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시민은 사실상 전기차 보급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다.
전기자동차 가격이 비싼 것도 민간 보급을 어렵게 하는 이유 중의 하나다.
울산시는 국비 등을 포함해 전기차 매입 비용으로 차량 1대당 1천800만원과 완속 충전기 비용 6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그런데 기아자동차의 경형 레이의 경우 전기차 가격이 3천500만원, 중형 소울은 4천150만원, 르노삼성의 중형 SM3은 4천90만원(택시), 한국GM의 소형 스파크는 3천90만원, BMW의 i3은 5천750만원∼6천470만원이다.
울산시의 지원을 받아도 휘발유 등 기존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가격이 비싼 편이다.
급속 충전기의 대중화도 시급한 과제다.
최대 140㎞를 주행하는데 완속 충전기는 6시간∼8시간, 급속 충전기는 20분∼30분 충전해야 한다. 그러나 급속 충전기는 대당 5천만원으로 비싸 보급 속도가 늦다.
울산시는 이같은 충전 인프라의 문제점 때문에 당장 일반 시민에게 전기차를 보급하기는 어렵다고 보고 우선 기업체를 대상으로 전기차 보급에 나서고 있다.
시는 지난 17일 울산대학교에서 열린 울산환경기술인협회 회원사인 160개 기업의 정기모임에 참석해 전기자동차 보급 계획을 알리고 전기자동차 매입을 요청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충전시설 설치가 용이한 전용 주차장을 소유한 일반 시민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전기차를 보급할 계획"이라며 "이동 충전소, 급속 충전기 등 충전 인프라 개발이 한창이어서 조만간 전기차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