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도 고교 평준화 시동…시민연대 설명회
(평택=연합뉴스) 김경태 기자 = 화성·오산에 이어 평택에서도 고등학교 평준화 도입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경기도 평택지역 17개 시민사회단체와 학부모회 등으로 구성된 '평택고교평준화시민연대'는 16일 평택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평준화에 대한 학부모회 설명회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설명회에서는 신동희 전 용인고교평준화추진학부모모임 대표가 2015학년도 용인지역 평준화 도입 사례를 소개했고, 한보석 평택고교평준화시민연대 집행위원장이 평택지역 평준화 배정안에 대해 발표했다.
한 집행위원장이 제안한 배정방법은 1단계 학군배정, 2단계 구역배정을 골격으로 하고 있다. 1단계에서 학교선택권을 존중해 학군 전체를 대상으로 지망 순위에 따라 배정한 다음 2단계로 학생 진학상황과 생활권, 학교 분포도 등을 고려해 남부, 북부(옛 송탄), 서부(옛 평택군)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배정하는 안이다.
일반고 수용률(중학교 졸업생 전체에 대한 일반고 정원 비율)이 74%인 남부구역의 경우 일부 학교의 학군을 조정하고 학급당 학생 수를 다르게 적용하면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평준화 비적용 대상(특수지)으로는 일부 종합고나 통학불편이 예상되는 학교를 사전 검토할 필요하다는 의견도 내놨다.
한 집행위원장은 "현재 학생들이 선호하는 학교가 대부분 남부구역에 집중돼 있지만 이는 비평준화에 따른 학교 서열화로 생겨난 현상"이라며 "평준화가 자리 잡으면 자연스럽게 구역중심으로 학교 선호도가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학교 선택권 문제도 성적 상위권 소수 학생만을 위한 특권으로 학교 서열에 따른 다수 학생의 패배감과 열등감을 해소하려면 평준화를 통해 생활권을 바탕으로 각 학교의 다양한 교육과정을 보고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4월 출범한 평택고교평준화시민연대는 앞으로 시의원 간담회, 시장 면담 등을 거쳐 10월께 도교육청에 타당성 조사 청원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9일화성시·오산시고교평준화추진위원회는 1만2천여명의 서명을 받아 평준화 타당성 조사 청원서를 도교육청에 제출한 바 있다.
이밖에 김포와 구리·남양주지역에서도 평준화 도입 논의가 진행 중이다.
경기도에서는 수원(1979년)을 시작으로 성남·안양권·부천·고양(2002년), 광명·안산·의정부(2013년), 용인(2015년) 등 9개 학군, 12개 시·군에서 고교 평준화를 시행 중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