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선특급 발맞춰 한·러 협력 국제회의 잇따라 열려
(블라디보스토크=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유라시아 친선특급 출발 2일차인 1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는 동북아 안정과 한·러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국제회의가 잇따라 열렸다.
이날 오전 러시아 극동대(FEFU) 캠퍼스에서는 '동북아시아 평화협력 구상회의'가 개최됐다.
제주평화연구원과 극동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이번 회의에서는 한반도 비핵화와 한·러간 에너지·물류 협력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됐다.
한인택 제주평화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계획대로라면 한·중·일 3국에 건설돼 운용될 원전만 300여개에 달하게 된다"면서 핵안보를 위한 한·러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드레이 구빈 극동대 교수는 "원자력 에너지와 관련한 협력은 한·러 양국에 모두 이익이 된다"며 "북한 역시 국제법적 요건을 갖추고 평화적 발전을 선택한다면 부분적으로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스크바 당국의 북핵에 대한 입장은 상당히 엄격하다"면서 "유일한 협력 방안은 북의 핵무기비확산조약(NPT) 재가입과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보증"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시베리아·극동 지역 수력발전소의 전력을 송전선을 통해 한반도에 공급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회의에서는 이밖에 남북종단철도(TKR)가 개통돼 시베리아횡단열차(TSR)에 연결돼야 할 필요성과 세계 최대 에너지 소비자인 동북아 3국에 러시아 극동 석유·천연가스 프로젝트가 갖는 의미 등이 논의됐다.
비슷한 시각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네벨스코이 해양대와 함께 '한·러 해운물류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러시아의 시베리아·극동 개발전략과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연계 가능성, 북극항로 개발, 나진·하산 물류사업의 진척 상황 등이 주된 논의거리였다.
특히 니콜라이 페레슬라브체프 아시아태평양해양과학교육저널 주필은 "박근혜 대통령이 선언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아시아 국가들을 공통의 이익으로 연결한다는 구도상 러시아와 이해가 일치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한국 정부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나진·하산 물류사업 관련 결정을 늦추고 있다면서 "나진·하산 물류사업을 왜 5·24 조치의 예외로 규정하지 않느냐"고 묻기도 했다.
이밖에 블라디보스토크에서는 한·러 산학 기술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산학협동 유망기술 설명회와 해양수산부가 주관한 수산식품 특별 판촉행사 등도 열렸다.
한편 전날 항공편으로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친선특급 참가단은 이날 저녁 블라디보스토크역에서 출정식을 갖고 1만1천900㎞ 떨어진 독일 베를린행 열차에 탑승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