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청주=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문장대 온천 개발 저지 충북도민 대책위원회는 지난 9일 오전 충북도의회 앞에서 온천 개발 중단을 촉구했다. 2015.7.9 |
"수온 상승, 생태계 교란…문장대온천 환경훼손 불보듯 뻔해"
조영철 충북대 교수 "2도만 변해도 어류에 악영향…온천 주변 자정능력 상실"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경북 상주의 문장대 온천이 개발되면 상온을 웃도는 오수가 사시사철 방류되면서 하류인 괴산 등 충북 지역의 하천 오염은 물론 생태계 교란이 불 보듯 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온천 오수에 따른 하천 오염은 차치하더라도 하천의 수온 상승이 독성 물질 증가, 어류 폐사 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영철 충북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오는 16일 충북도의회 주최 '문장대 온천 개발 반대 토론회'에서 이러한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조 교수가 14일 미리 공개한 '온천수가 하천 생태에 미치는 영향' 제하의 발제문에 따르면 문장대 온천 개발에 따른 생태계 파괴는 불가피하다.
온천에서 배출되는 오수로 수온이 상승하면 하천의 미생물이 활성화되고 유기물 축적이 가속화된다. 결국 용존 산소량이 감소해 하천의 자정 능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조 교수는 전북 고창의 석정온천과 익산 왕궁온천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 자료도 소개했다.
두 온천 부근의 하천 모두 생태계 질서가 교란됐고 어류의 서식지가 파괴된 것으로 확인됐다.
석정온천 인근의 소하천변 침전 퇴적물의 니켈, 철, 아연, 구리, 납 농도가 높아졌고, 방류 지점에서는 기온이 낮을 때에도 남조류가 발생했다.
왕궁온천 부근 하천에서도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가 인접한 만경강 상류 하천보다 50∼200배 높았다.
물론 두 온천 인근 하천에서는 물속 돌에 끼는 부착조류가 무더기로 출현했다.
이런 현상은 하수·폐수 처리시설이나 냉각수를 배출하는 발전소 등 인근 하천에서도 발생하는 현상이다.
환경 폐해 이외에 생태계의 급속한 변화도 초래된다.
조 교수는 "물고기는 2도의 수온 변화만 있어도 분포, 성장, 번식, 회유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이동 능력이 낮은 토착성 어류의 경우 더 큰 영향을 받게 되는데, 어류 서식지가 파괴될 가능성도 있다고 조 교수는 설명했다.
특히 치어는 수온 변화로 물의 밀도나 점도에 변화가 생긴다면 그 즉시 폐사할 수 있다고 조 교수는 덧붙였다.
물고기가 견딜 수 있는 내성 온도를 초과하는 수온 변화는 '하천 생태계 말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조 교수의 주장이다.
조 교수는 "온천 오수 방류로 인한 수온 상승은 하천의 수질 저하와 생태계 교란을 유발할 수 있다"며 "이런 영향은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더 심하다"고 강조했다.
문장대 온천 개발을 추진하는 경북 상주 지주조합 측이 첨단공법으로 오수를 정화, 오염 기준치 이하의 수질로 맞춰 방류하면 문제될 게 없다고 주장하지만 온천이 일단 개발되면 하류인 충북 지역 하천 오염과 생태계 파괴는 막을 길이 없다는 얘기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