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글로벌 ICT 산업 M&A 활발…10년래 최대"
삼정KPMG, '글로벌 ICT 산업 M&A 동향과 전망' 보고서 발간
(서울=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 지난해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인수합병(M&A)이 최근 10년간 가장 활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삼정KPMG가 발간한 '글로벌 ICT 산업 M&A 동향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에 이뤄진 글로벌 ICT 산업의 M&A는 전년보다 18.0% 증가한 5천418건으로 집계됐다.
거래 규모 역시 전년에 견줘 51.4% 증가한 8천420억 달러로 지난 10년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M&A 규모별로 보면 50억 달러 이상의 메가 딜은 0.9%에 그친 반면 5억 달러 미만의 M&A는 전체의 93.4%에 달했다.
분야별로는 인터넷, 미디어, 소프트웨어, 통신 등 ICT 서비스 업종의 M&A가 전체의 73.1%인 3천961건을 차지하면서 M&A를 주도했다.
특히 인터넷 산업의 M&A는 1천130건으로 전년보다 33.6% 증가하는 등 다른 산업보다 큰 성장폭을 보였다. 구글은 작년에만 33개의 기업을 인수해 인터넷 업체 중 가장 많은 M&A를 진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ICT 산업에 대한 사모펀드의 투자는 전년보다 8.0% 증가했으며 지난 10년간 최다 거래 건수를 기록했다. 특히 세쿼이어 캐피탈, 엑셀 파트너스, 뉴 엔터프라이즈 어소시에이츠 등의 사모펀드들이 ICT 산업에 대한 M&A 투자를 주도했다.
상위 3개 사모펀드의 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모두 인터넷, 소프트웨어 기업을 중점적으로 인수한 것으로 분석됐다. 인터넷이 40.4%, 소프트웨어가 30.7%를 차지하며 높은 비중을 보였고, 통신, 컴퓨터, 미디어 등은 10% 미만으로 비교적 낮은 비중을 나타냈다.
보고서는 지난해 ICT 산업의 M&A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활발한 모습을 보인 이유로 기업의 현금 보유량 증가, 지속적인 글로벌화 전략, 산업간 융합에 따른 신사업 진출 등을 꼽고, 이 같은 성장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글로벌 기업들이 ICT 산업 환경의 변화에 대응해 M&A를 확대하고 있지만 국내 ICT 산업의 M&A는 전년보다 6.6% 감소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나타냈다고 덧붙였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