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장기화 부룬디 "대선 연기 고려"…새 국면 맞나
총선에선 여당 100석 중 77석 차지해 승리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류일형 특파원 = 현직 대통령의 3선 출마를 놓고 정부와 야당 및 국제사회 간 한 치의 양보도 없는 '강 대 강' 양상을 보이던 부룬디 사태가 정부의 대선 연기 검토 발표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피에르 은쿠룬지자 현 대통령의 3선 출마 반대시위가 장기화하고 있는 아프리카 중동부 부룬디가 동아프리카 정상들의 선거 연기 요구가 나온 뒤 오는 15일로 예정된 대통령 선거 연기를 고려 중이라고 dpa 통신 등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윌리 은야미트웨 부룬디 대통령 대변인은 "우리는 이번 선거가 모든 사람이 만족하는 선거가 되기를 바라기 때문에동아프리카 정상들의 요청에 기꺼이 귀를 기울일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등 5개국으로 구성된 동아프리카공동체는 지난 6일 은쿠룬지자 대통령이 불참한 가운데 탄자니아에서 열린 긴급 정상회담에서 부룬디 대선을 7월 30일로 연기하라고 요청한 바 있다.
그러나 은야미트웨 대변인은 선거 연기 용의를 밝히면서도 최종 선거 연기는 헌법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집권여당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CNDD-FDD)도 헌법상 대통령 선거는 은쿠룬지자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8월 26일 한 달 전인 7월 26일까지는 치러져야 한다고 말했다.
동아프리카공동체는 부룬디 여당이 압둘라예 바틸리 유엔 특사가 야당 편을 든다며 중재를 거부한 뒤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을 중재자로 임명했다.
한편 7일 부룬디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야당의 불참과 국제사회의 반대 속에 지난달 29일 실시된 부룬디 총선 잠정 개표결과 집권여당 CNDD-FDD가 전체 100석 중 77석을 차지, 다수 의석을 확보했다.
부룬디에서는 지난 4월 25일 은쿠룬지자 대통령 3선 출마시도로 촉발된 반정부 시위와 불발 쿠데타로 80명 이상이 사망하고 14만 4천여 명이 이웃나라로 피신했다.
부룬디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5년 중임으로 제한하고 있지만, 은쿠룬지자 대통령은 첫 번째 임기 때는 의회에서 간접선거로 선출됐다며 3선 도전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