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산업유산 부정적 역사도 성실히 알려야"(종합2보)

편집부 / 2015-07-08 18:18:18
아사히·니시니혼신문 등 사설…"가혹한 노동 강요는 입증된 것"
요미우리는 韓정부에 날선 비판…"정치공작으로 혐한감정 더 높아져"
△ 6월 21일 도쿄에서 열란 외교장관 회담에서 악수하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

日언론 "산업유산 부정적 역사도 성실히 알려야"(종합2보)

아사히·니시니혼신문 등 사설…"가혹한 노동 강요는 입증된 것"

요미우리는 韓정부에 날선 비판…"정치공작으로 혐한감정 더 높아져"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일본 언론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결정된 자국 산업시설에서 이뤄진 조선인 강제징용 등 부정적인 역사를 직시하고 제대로 알릴 것을 촉구했다.

아사히 신문은 8일자 사설에서 "일본 정부는 한국의 향후 사법 판단 등에 악영향을 미칠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강제 노동이 아니다'며 부정하지만 폭력적인 동원과 가혹한 노동을 강요한 사실은 많은 연구에서 증명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이어 "일본 정부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부(負)의 역사'에 대해서도 정보를 알릴 것을 약속했다"며 "성실히 실행해 세계유산을 다면적인 역사를 말하는 장소로 만들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사설은 또 "씁쓸한 뒷맛을 남기긴 했지만 양측이 마지막에 서로 양보해 최악의 사태를 피할 수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양국이 미래로 계승하는 세계유산의 정신 아래 이번 소동을 딛고 앞으로 나가야 한다"고 적었다.

이와 함께, 세계유산 등재가 결정된 일본 산업시설이 집중된 규슈(九州) 지역 지방지인 니시니혼(西日本) 신문은 7일자 사설에서 "세계유산의 원래 목적은 인류 공통의 유산을 후세에 계승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산업 근대화의 '부(負)의 유산'도 직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또 "과거 각지의 탄광 등에서는 한반도와 중국 출신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징용돼 가혹한 노동 환경 속에서 일했다"며 "세계 유산 등록을 종점으로 삼지 말고, 산업혁명 유산의 '빛과 그림자'를 바라보며 과거에서 미래로 이어가고 싶다"고 덧붙였다.

반면, 요미우리 신문은 '산업혁명 유산 축하에 물을 뿌리는 한국의 정치 공작'이라는 제목의 8일자 사설에서 "한국 정부가 일본의 유산에 대한 '부의 측면'을 과도하게 연출한 것은 유감"이라고 적었다.

더 나아가 "이번 소동으로 일본 내 '혐한'감정은 더욱 높아졌다"며 "일한관계 개선의 기운에도 찬물을 끼얹은 것임에 틀림없다"고 주장했다.

지난 5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된 일본 23개 산업시설 중에는 나가사키(長崎) 조선소,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수만 명이 강제노동한 현장 7곳이 포함됐다.

등재 추진 과정에서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어떻게 반영할지를 놓고 한일 정부는 우여곡절 끝에 '의사에 반해 끌려가 노동을 강요당했다(forced to work)'는 표현으로 타협점을 찾았지만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인지 여부를 놓고 다시 입장차가 노출됐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