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퇴진'…당청관계 복원되나(종합)

편집부 / 2015-07-08 17:35:11
당·청 갈등 일단 봉합에 나설듯


'유승민 퇴진'…당청관계 복원되나(종합)

당·청 갈등 일단 봉합에 나설듯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8일 사퇴하면서 소통 단절을 겪었던 당청 관계가 복원될지 주목된다.

지난 2월 '당 주도의 당청관계'를 내세운 유 원내대표 취임 이후 줄곧 팽팽한 긴장감이 흘렀던 당청 관계는 지난 5월 임시국회에서 국회법 개정안을 둘러싸고 결국 폭발했다.

당청 간 불신이 쌓이면서 대화 채널이 사실상 붕괴하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내몰린 것이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등 비상시국에서도 한 달 이상 당정청 수뇌부간 대화 단절은 물론이고 정부와 새누리당 간 공식적인 회의조차 원활하지 못했다.

지난 3일 있었던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회식에선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대표가 불과 5m 간격을 두고 자리를 했으나 인사조차 나누지 않았다. 당청간 냉기류의 한 단면으로 해석됐다.

그러나 당청 갈등의 진원지였던 유 원내대표의 사퇴로 어떤 식으로든 관계 복원의 실타래는 풀어갈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다.

청와대로서는 박근혜 정부 3년차의 국정과제를 완수할 마지막 '골든타임'을 놓칠 수 없고, 당으로서도 하루빨리 당의 내분을 추슬러 10개월가량 남은 20대 총선을 준비해야 하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

당장 발등의 불로 떨어진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과정에 당청간 긴밀한 협의가 불가피하다.

청와대로서도 더 이상의 당청 불화가 가져올 후유증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변수는 산적해 있다.

우선 1주일 이내에 선출해야 하는 유 원내대표 후임이 관건이다.

선출 과정에서 친박·비박계간 충돌이 빚어질 경우 내홍의 장기화는 물론 그 후유증이 심각할 수밖에 없다.

차기 원내대표를 경선이 아니라 추대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고개를 드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하지만 경선 주장도 만만치 않아 현재로선 실현 가능성을 예단하기 어렵다는 게당내 관측이다.

추대든, 경선이든 차기 원내대표로 청와대 거부감이 적은 인사가 될 경우 당청관계는 순항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비박계가 그 자리를 차지할 경우 상황은 달라진다.

물론 내년 총선을 앞두고 '유승민 사태'와 같은 심각한 국면까진 가지 않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나 당청간 긴장상태는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