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위기> "독일선 '빚'과 '죄' 같은 말…부채탕감 기대 못해"

편집부 / 2015-07-08 15:47:05
WP "원칙 중시 독일인, 부채탕감보다는 인도적 지원 하려할 것"


<그리스 위기> "독일선 '빚'과 '죄' 같은 말…부채탕감 기대 못해"

WP "원칙 중시 독일인, 부채탕감보다는 인도적 지원 하려할 것"



(서울=연합뉴스) 백나리 기자 = "빌려간 돈은 갚아야 한다. 인도적 지원을 해줄지언정 부채탕감은 안 된다."

국제채권단의 채무 협상안을 거부한 그리스의 국민투표 이후 독일 국민 사이에서 부채탕감은 안 될 일이라는 강경한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리스가 파산에 처할 경우 인도적 지원금을 보내줄 수는 있어도 빚 자체를 탕감해줄 수는 없다는 게 원칙과 예측가능성을 중시하는 독일 국민의 정서라는 것이다.

WP에 따르면 독일에서 빚을 진다는 건 매우 부정적인 의미다. 독일어 'schulden'은 '부채'라는 뜻과 함께 '죄'라는 뜻도 갖고 있다.

원칙을 중시하는 독일에서는 도로가 한산할 때라도 무단횡단을 찾아보기 어렵고 지하철에서는 표검사를 하지 않는다. 시민의 자율적 규정 준수가 당연한 것이다.

독일은 또 유로화가 도입되기 전에는 개인이 파산상태에서 빠져나오기까지 30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던 나라다. 유럽에서 신용카드 사용비율이 가장 낮고 대형매장에서도 현금만 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런 문화 때문에 독일에서는 그리스의 부채탕감 요구를 마냥 들어줘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강하다고 WP는 소개했다. 그리스를 한 번 봐주게 되면 스페인과 이탈리아 등에서도 같은 상황이 벌어져 유럽 전역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실제로 이날 독일 대중지 빌트는 1면에 '오늘날 우리는 철의 재상이 필요하다. 그리스에 거액 지원은 없다'라는 제목에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철모를 쓴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사진을 실었다. 비스마르크는 철의 재상이 별칭인 19세기 독일 총리다.

집권 기독민주당(CDU) 크리스티안 스테텐 의원은 "물론 우리는 그리스 국민을 버리고 싶은 건 아니지만 그리스가 도움을 받을 목적으로 유로존 회원국이어서는 안된다"라고 말했다.

그는 "애초 규칙을 지키지 않는 것에 대해 처벌이 있었으면 (지금) 이런 문제는 없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독일의 이같은 여론은 '유럽의 여제' 앙겔라 메르켈 총리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그리스가 유로존에서 이탈하도록 놔두는 것도, 유로존에 남도록 부채탕감에 동의해주는 것도 그의 위상을 흔들 수 있다.

메르켈이 스스로 뭔가를 결정하는 것을 피하고 그리스가 결정하기를 원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총리의 자서전을 쓴 스테판 코르넬리우스는 "메르켈은 (유로존의) 원칙을 정하고 그리스가 따르거나 떠나거나 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