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천시,청사옆 부지 매각 급한데 반대여론에 '발 동동' (부천=연합뉴스) 경기도 부천시는 시청사 옆 시 소유 2만9천770여㎡와 민간 상업용지 4천500여㎡를 묶어 주거·상업·숙박·문화 복합기능을 갖는 공공 통합개발(중동 특별계획1구역)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시는 최근 이 부지 매각을 위해 시의회에 의결을 요구했으나 관련 상임위인 재정문화위에서 부결됐다. 초등학생 370여명이 유입되고 차량 2천여대를 주차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대책이 소홀한다는 이유에서다. 사진은 중동 특별계획1구역 전경 모습. 2015.7.7 << 부천시청 제공 >> tomatoyoon@yna.co.kr |
부천시,청사옆 부지 매각 급한데 반대여론에 '발 동동'
"지금 팔아야 제값 받아" vs. "교통대책 없고 초등학교 부족"
(부천=연합뉴스) 김창선 기자 = 경기도 부천시가 되살아나고 있는 부동산 경기를 타고 청사 옆 부지 2만9천770여㎡를 매각하려하고 있으나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아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부천시는 시청사 옆 시 소유 2만9천770여㎡와 민간 상업용지 4천500여㎡를 묶어 주거·상업·숙박·문화 복합기능을 갖는 공공 통합개발(중동 특별계획1구역)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의 통합사업은 56∼65층 초고층아파트 4개동, 36층 높이 호텔 1개, 1천700석 규모 문예회관 등의 건립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시 소유 부지 2만9천770여㎡는 상업용지 2만4천330여㎡와 도로 부지 5천440㎡를 합친 것이다.
최근 이 부지 매각을 위해 시의회에 의결을 요구했으나 관련 상임위인 재정문화위에서 부결됐다.
초등학생 370여명이 유입되고 차량 2천여대를 주차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대책이 소홀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시는 최근 살아나는 부동산 경기에 맞춰 부지를 팔아야 제값을 받을 수 있다며 조속한 매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 공공 통합개발이 무산되면 애초 시의회가 의결한 대로 상업용지만 분리 매각해야 해 땅값이 ㎡당 100여만원 낮아지고 면적도 줄어 결국 850억원의 금전적 손실을 보게 된다는 것이다.
부천시는 부지 매각 대금 3천330억원과 부천영상문화단지 가운데 일부 매각 대금 7천억원(예정)으로 추진하려는 지역균형발전 사업도 차질을 빚게 되고, 숙원사업인 문예회관 건립도 물건너 가게 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시청사, 인근 중앙공원과 연계된 공공 통합개발 무산으로 시청사 주변이 난개발에 빠질 우려도 있다고 시는 덧붙였다.
반면 일부 반대 시의원들과 주민들은 시청사 주변이 지금도 차량이 밀리는데 시의 계획대로 무분별하게 개발되면 차량 정체가 최악의 상황에 빠진다는 논리를 펴고있다.
이들은 또 주변에 하나 밖에 없는 초등학교에 더이상 학생을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통합개발 계획을 전면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의회는 전체 의원 28명 가운데 16명이 김만수 시장 소속 정당인 민주당이어서 오는 15일 열릴 본회의에서 직권 상정해 매각을 의결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박헌섭 시 도시계획과장은 7일 "지금이 부지 매각에 최적기"라며 "때를 놓치면 부천의 숙원인 문예회관 건립은 물론 낙후된 원도심을 살릴 재원을 마련할 길도 없다"고 매각 의결을 재차 촉구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