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연평해전' 한국내 역사인식 갈등 재점화"

편집부 / 2015-07-06 08:14:23
LAT '연평해전 신드롬' 소개…"'과거사 향수' 영화붐 힘입어"


"영화 '연평해전' 한국내 역사인식 갈등 재점화"

LAT '연평해전 신드롬' 소개…"'과거사 향수' 영화붐 힘입어"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김종우 특파원 = 한국에서 영화 '연평해전'(Northern Limit Line)의 개봉으로 좌우 진영 간 케케묵은 역사인식 갈등이 재점화하고 있다고 미국 일간지 로스앤젤레스(LAT)가 보도했다.

LAT는 3일자(현지시간) 국제면에서 "영화 '연평해전'이 한국에서 개봉된 이후 미국의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쥬라기 월드'를 밀어내고 박스오피스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면서 한국 내 '연평해전 신드롬'을 소개했다.

특히 이 신문은 201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 발생한 한국전쟁 이후 남북 해군 간 첫 해전인 제2차 연평해전이 한일 월드컵과 대북 햇볕정책 분위기에 가려 한국인의 뇌리에서 잊혀져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13년이 지나 연평해전의 영화로 부활한 것은 지난해부터 한국 영화계에 화두로 떠오른 '과거사에 대한 향수'에 힘입은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국 영화계의 과거사 향수 붐은 영화 '명량'에서 출발해 '국제시장'과 '연평해전'으로 이어졌으며, 영화 내용은 애국주의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해석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이는 한국 영화계가 1987년 민주화 이후 북한을 인간의 얼굴을 한 상대로 적극적으로 묘사해온 것과는 사뭇 다른 뉘앙스라는 것이다.

LAT는 1999년과 2000년 개봉한 영화 '쉬리'와 '공동경비구역 JSA'를 예로 들며, 이 영화들은 북한의 인간적인 면모를 부각시킨 대표작들이라고 꼽았다.

이어 현재 연평해전을 둘러싼 좌우 진영 간 극렬한 찬반론도 이 영화 전편에서 남북 해군의 상반된 묘사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좌파 진영에서는 "'남한은 선, 북한은 악'이라는 냉전의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고 비판한 반면, 우파 진영에서는 "국가안보를 위해 산화한 용사들을 국가가 외면한 사실을 다시금 일깨워줬다"고 반박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전기 '김대중 신화'(Korea Betrayed)를 쓴 저널리스트 도널드 커크의 언급으로 글을 맺었다.

"영화 '연평해전'의 인기는 그 역사적 사건이 잊혀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영화는 한국 국민에게 연평해전의 전말을 보여줬고 그것은 그들의 인식에서 잊혀지지 않았다는 점을 일깨워줬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