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CIA, 이번엔 거액 자문료 지급 문제로 논란
맥킨지에 112억 지급, 구조조정작업 컨설팅 명목
(서울=연합뉴스) 김선한 기자 = 소극적인 소수계 선발과 고위직 등용으로 조직의 다양성 확대와 정보 역량 위축을 가져왔다는 '반성문'을 발표한 미 중앙정보국(CIA)이 이번에는 구조조정작업과 관련한 '거액 자문료' 시비에 휘말렸다.
워싱턴포스트(WP)는 컨설팅 전문사인 맥킨지에 CIA가 지급한 자문료가 1천만 달러(112억 6천만 원)가 넘는 데다이같은 구조조정과 관련한 비용 충당을 빌미로 일부 부서의 자투리 예산까지 요구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가열되기 시작했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시비는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CIA가 새로운 안보 위협 상황에 걸맞게 역할을 하려면 기존의 조직 형태로는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구조조정작업이 시급하다는 외부 의견을 따라 존 브레넌 국장이 이를 검토할 내부 기구를 발족하면서 간부들의 조언을 빌미로 맥킨지를 끌어들였기 때문이다.
CIA 사상 가장 '야심작 중의 하나"로까지 일컬어진 조직 수술작업을 외부에 맡긴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브레넌 국장은 지난 3월 수십 년 동안 CIA를 장악해온 공작국과 분석국의 칸막이를 허무는 것 등을 골자로 한 청사진을 발표했다.
2001년 9·11 사태 이후 발족한 대테러센터(CTC)를 모델로 해 공작요원과 분석 요원을 함께 섞어 운영하는 조직을 만들어 특정 지역이나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등 안보 위협 문제를 다루기 시작했다. 문화와 정서가 전혀 다른 외근 요원들과 내근 요원들을 함께 참여시킨 조직을 발족시킨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찬반이 엇갈린다. 어려운 문제를 '참신한' 외부수혈을 통해 처리하고 동시에 예상되는 내부의 반발과 저항을 피하려는 의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다.
그러나 자칫 정보기관으로서의 고유성이 훼손될지 모른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이다.
자문료에 대해서도 갑론을박이 무성하다고 WP는 전했다.
계약 분야에 해박한 한 정부 관계자는 맥켄지가 챙긴 돈은 120억 달러(13조 4천100억 원) 이상의 관련 예산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면서도, "정작 문제는 돈이 지급된 근거"라고 꼬집었다.
CIA는 해외지부 경비에서부터 방대한 전산망 운영까지 다양한 업무를 아웃소싱 방식으로 외부 업체에 용역을 주어왔지만 경영자문을 받기는 꺼려왔다.
이에 대해 CIA 대변인은 구체적인 언급을 회피한 채 "기존에 책정한 예산으로 구조조정 계획을 실행하고 있으며, 의회의 추가 예산 승인도 필요없다"고 해명했다.
매킨지 역시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WP는 덧붙였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