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 동천 << 연합뉴스 자료사진 >> |
"부산 하천사업 실패 책임 묻는다" 환경단체 감사 청구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생명그물, 대천천네트워크, 학장천살리기주민모임, 온천천네트워크 등 부산지역 4개 환경단체는 2일 "지난 10년간 부산의 하천사업은 사실상 실패했다"며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이날 오전 10시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온천천, 삼락천, 학장천, 동천을 생태하천으로 되살리겠다는 사업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져 오히려 환경을 파괴했다"며 감사 청구 이유를 설명했다.
이 단체는 하천 정비사업 과정에서 불필요한 사업 중복이나 예산낭비 사례가 드러나고 있어 철저한 규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단체들은 지난 10년간 부산시가 추진한 하천사업이 시민사회, 전문가와 논의해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기보다 개발 위주의 독단적인 관료행정을 펴왔다고 비판했다.
13년간 2천억원을 쏟아부은 동천에는 효과가 떨어지는 해수 유입, 수질정화시설, 수중보 설치 등 대증요법만을 실시해 여전히 '악취 나는 도심하천'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고 비판했다.
부산의 대표적 생태하천인 온천천도 과다한 체육시설, 하수관거 정비 부실, 중복 투자로 정작 수질은 개선되지 않아 비만 오면 물고기가 죽는 하천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4대강 사업으로 추진한 학장천과 삼락천 정비사업도 수백억원의 예산이 투입됐으나 부실시공과 시공업체 비리로 얼룩진 실정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지난해 폭우로 하천복원사업을 추진하면서, 재해 원인을 찾지 않고 금정산 계곡과 대천천 생태하천, 수영강 생태하천을 콘크리트로 덮어버린 것은 근시안적인 토건행정이었다고 말했다.
이준경 생명그물 정책실장은 "서병수 부산시장이 취임한 뒤 하천관련 조직이 뿔뿔이 흩어지는 등 컨트롤 타워도 없이 개발 위주의 토목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며 "부산시가 하천관련조직을 전면 개편하고 하천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