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일본의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오른쪽) 전 총리와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전 관방장관이 2015년 6월 9일 일본 도쿄도(東京都) 일본기자클럽에서 '전후 70년을 말한다'는 주제로 열린 대담에 참석하고 있다. |
日정부 "무라야마담화 발표 전 타국과의 조율 확인된 것 없다"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일본 정부는 식민지 지배와 침략을 사죄한 1995년 무라야마(村山)담화 발표에 앞서 다른 나라와 그 내용을 협의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를 밝혔다.
1일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은 무라야마 담화에 관해 "공표 전에 외국 정부와의 사이에 문구를 조정하거나 외국 정부에 내용 등을 전달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는 확인되지 않았다"는 답변서를 전날 각의 결정했다.
일본 정부는 무라야마담화 발표 전에 외국 정부와 문구를 조정하거나 내용을 알려준 것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라는 와다 마사무네(和田政宗) 차세대당 참의원 의원의 질의에 이 같은 답변을 내놓았다.
와다 의원은 만약 무라야마담화의 발표 과정에서 한국 등과 협의가 있었다면 이를 이유로 내용 등을 문제 삼으려고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다소 신중한 화법을 택했으나 무라야마 담화를 외국과의 협의 없이 독자적으로 발표한 것이라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의 극우·보수 세력은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가 한국과의 내용 조정을 거쳐 발표됐다는 일본 정부의 검증 결과 등을 이유로 고노담화의 폐기를 주장하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