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도시,출퇴근 교통체증 탈피 안간힘…문제는 '돈'

편집부 / 2015-06-30 10:33:27
'차 없이 출퇴근' 정책 안 먹혀…도시별 해법도 갖가지


美 대도시,출퇴근 교통체증 탈피 안간힘…문제는 '돈'

'차 없이 출퇴근' 정책 안 먹혀…도시별 해법도 갖가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김종우 특파원 = 미국의 대도시들이 출·퇴근길 '교통지옥'을 완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미국 대도시들의 교통난은 이미 '임계점'을 넘어선 상태다. 교통 수요를 충족시켜줄 만큼 교통 인프라가 확충되지 못하고 있는 게 가장 큰 이유다.

또 대도시별로 대중교통 시스템을 충분히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다 교외에 거주하는 직장인들의 '나 홀로 차량'이 아침마다 한꺼번에 몰리면서 교통체증이 심화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하고 있다.

미 연방 교통부는 올해 초 '비욘드 트래픽(Beyond Traffic) 2045' 보고서를 통해 "교통시스템이 획기적으로 변하지 않으면, 30년 뒤 고속도로는 매일 휴가철과 같은 교통체증을 경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교통부의 이 같은 예측은 2045년에 인구가 7천만 명이 늘어나고 미국 전역에서 운송되는 화물량이 45%가량 늘어난다는 기초자료를 토대로 하고 있다.







실제로 버락 오마바 행정부의 교통정책 핵심은 '차 안 갖고 나오는 환경 만들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같은 정책 기조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아무리 고속도로를 늘려도 교통체증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현실 인식에서 나온 것이다.

문제는 역시 '돈'이다. 도시별로 극심한 교통체증에서 벗어나기 위한 접근법이 사뭇 다른 것도 예산 문제에서 비롯된다.

로스앤젤레스(LA)와 같은 광역 도시들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교통시스템을 대대적으로 개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LA카운티는 지난 2008년 도심 내 전철 확충과 도로 개선 등 교통기금 세수 마련을 위해 판매세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2039년까지 총 360억 달러(40조4천억 원) 조성을 목표로 한 것이다.

LA카운티는 이어 지난 4월 판매세 추가 인상안을 발표했다. 총 900억 달러를 조성해 광역도시철도와 전철, 자전거 도로 확충, 도로 개선 등에 투입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반면, 인구와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남부와 남서부 지역에서는 예산 부족으로 교통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편할 형편이 못 된다.

필라델피아·피츠버그·세인트루이스·클리블랜드·디트로이트 등 북동부나 중서부 지역의 옛 도시들도 인구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지만, 도로나 철도 개선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컨대 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는 애틀랜타 광역도시권의 경우, 2040년에 교통체증 시 평균 속도는 18.8mph(시간당 마일)로 현재보다 10mph 느려질 것으로 교통부는 예측했다.

도로에서 버리는 시간과 연료를 돈으로 환산하면 현재 1인당 874달러에서 2040년에는 2천945달러로 3배가 넘는다.







이에 따라 막대한 예산을 투입할 수 없는 대도시에서는 '버스 전용 차선제' 등 제도 개선에 기대는 형국이다.

보스턴·클리블랜드·마이애미·피츠버그 등이 대표적 도시들이다. 플로리다 주의 잭슨빌은 2019년까지 도심 내 버스 전용 차선을 50마일까지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대도시별로 인구가 많은 인근 거점지역에 각종 생활편의 시설을 밀집시켜 인근 교외 거주자들이 도보나 자전거로 이용케 하는 도시계획도 대안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아울러 교통체증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고속도로를 늘리는 것보다 도시 철도와 도심 내 전철을 확충해야 한다는 의견도 끊이지 않고 있다.

앤서니 폭스 교통부 장관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인구가 급증하면 교통 병목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다른 선택지가 필요하다"면서 "철도 시스템 강화가 고속도로 교통체증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철도와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은 지난 1950년대만 해도 미국의 교통 시스템의 핵심이었으나, 현재는 급속히 위축돼 수송 분담률이 미미한 실정이다.

이처럼 철도와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이 퇴색한 것은 자동차 산업 육성정책과 함께 교외 거주자들이 대폭 늘어나면서 자가용 이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교통부 조사 자료에 따르면 1980년에서 2013년까지 '나 홀로 차량'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이 64%에서 77%로 늘었다. 이 기간에 카풀은 20%에서 10%로, 대중교통 이용률은 6%에서 5%로 줄었다.

이 같은 결과는 AP통신이 지난 4월 여론조사기관 GFK가 공동으로 한 조사에서 미국인 53%가 정부가 철도보다는 고속도로와 도로를 확장시켜야 한다고 답한 것과 무관치 않다.

철도를 비롯한 대중교통 수단을 확충하든지, 도시계획을 새로 하든지 간에 예산 투입은 필수조건이다. 하지만, 교통기금을 위한 연방 유류세는 1993년 이후 갤런당 18.4센트에서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더욱이 연방 정부가 유류세나 고속도로 이용료, 주행세 등을 부과하고 싶어도 이를 꺼리는 유권자들의 표 때문에 쉽게 이행할 수 없는 구조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연방 정부의 교통 보조금에 의존하는 알래스카 주와 뉴저지 주 등에서는 교통시스템의 개편은 엄두조차 못 내고 있다. 도로 확충이나 개선은 아예 연기되거나 무기한 보류된 형편이다.

통신커뮤니케이션의 비약적 발전으로 GPS(위성위치 확인시스템) 장치를 탑재한 차량이 늘어나고, 교통체증을 알리는 경보 체제도 등장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당장 교통시스템 개편 장기 계획이 시행되더라도 미국인들이 출퇴근 시 교통지옥에서 벗어나려면 수십 년을 기다려야 한다는 비관적 전망도 나오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