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할랄시장 수출 확대…2017년 15억달러 목표
인프라 구축·한국형 할랄인증 표준 제정
(세종=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새로운 농식품 수출시장으로 할랄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정부가 본격적으로 관련 인프라 구축과 인증 정비 등에 나선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의 할랄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할랄식품 발전 및 수출 활성화 대책'을 30일 발표했다.
할랄시장은 2013년 기준 1조2천920억 달러 규모로, 전 세계 식음료 시장의 17.7%를 차지하는 거대 시장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업체들은 정보 부족과 국내 할랄식품 산업 기반 부재 등으로 할랄식품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따라 우선 할랄시장 정보 제공, 식재료 생산, 인력양성, 연구개발 등에 필요한 인프라 기반을 정비해 수출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주요 나라별 할랄시장 동향, 인증제도 등 관련 정보를 모아 기업에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할랄 데스크, 할랄 시장 수출 매뉴얼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채소·과일 등의 할랄시장 수출에 주력할 원예수출 전문단지를 육성하고 국가식품클러스터 내에 할랄식품 전용단지 조성을 추진한다.
올해는 장류의 할랄제품 진위판별 진단법 개발, 이슬람 시장에 수출 가능한 장류 개발 등 연구개발(R&D) 토대를 다지기 위한 과제를 시작한다.
아울러 기업 대상 할랄인증 비용 지원 규모를 올해 10억원에서 내년 20억원으로 늘리고 국내 할랄인증기관의 인증분석 능력 등 역할을 강화한다.
올 연말까지는 할랄 도축·도계장, 가공식품 등에 적용하는 한국형 할랄인증 표준을 제정해 국내 인증기관에 지침을 제시할 예정이다.
올해 안으로 국내 할랄인증 표준을 국가 산업 표준으로 등재하고 해외인증기관과의 교차 인정도 추진한다.
내년부터 할랄 국제 표준을 주도하는 말레이시아·아랍에미리트(UAE) 등의 국가와 세미나를 정례화해 한국 할랄인증의 공신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축산물을 포함한 모든 가공식품에 할랄인증 표시와 광고가 가능하도록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등 관계 법령을 개정하고 할랄 식당 리모델링·인증 비용을 지원하는 등 국내 할랄식품 유통 기반도 다진다.
농식품부에 할랄 시장을 전담할 신시장 개척과(가칭)를 개설하고 한국식품연구원 할랄식품 사업단을 할랄식품 종합 지원센터로 확대·개편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할랄시장으로의 수출 확대를 위해 농식품부는 우선 올해 정보 제공, 인증비용 지원 등으로 수출기업이 당면한 애로사항 해소에 집중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2017년에 할랄시장 농식품 수출액 15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기준 할랄시장 농식품 수출액은 8억6천만 달러다.
이준원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수출업계의 할랄시장 진출에 걸림돌인 정보 부족, 인증 애로, 시설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할랄 제품과 한식 홍보·마케팅을 강화해 우리 식품기업의 할랄시장 진출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