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뱅크런 처방 뭘까…은행영업중단? 자본통제?

편집부 / 2015-06-28 21:02:30
다른 선택가능 수단 없을 듯…ECB 긴급지원 증액 일단 변수

그리스 뱅크런 처방 뭘까…은행영업중단? 자본통제?

다른 선택가능 수단 없을 듯…ECB 긴급지원 증액 일단 변수



(런던=연합뉴스) 황정우 특파원 = 국제금융시장의 관심이 집중됐던 그리스 '뱅크런'(예금 대량인출)이 현실화했다.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가 27일(현지시간) 새벽 유럽연합(EU) 협상안을 국민투표에 부치겠다는 전격 선언에 예금자들이 은행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 대거 몰려들었다. 이날 하루에만 5억유로(약 6천300억원)가 빠져나갔고 28일에도 예금 인출은 계속됐다.

문제는 은행이 문을 여는 29일이다. 이미 뱅크런이 시작된 이상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번질 위험이 크다.

일단 28일 열릴 유럽중앙은행(ECB) 긴급회의 결과가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만일 ECB가 89억유로인 긴급유동성지원(ELA)을 증액한다면 뱅크런을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예금자들의 동요를 완전히 틀어막을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반대로 ECB가 증액을 결정하지 않는다면 그리스 정부에는 은행 영업중단 결정을 내리거나 예금인출 및 거래 규모를 제한하는 자본통제를 발동하는 비상대책 이외 다른 선택 가능한 수단이 남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ECB는 기본적으로 그리스 은행들에 채무상환능력이 있다는 판단이 있어야만 ELA 지원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최근 그리스 은행들에 ELA를 증액해준 것도 그리스 정부가 국제 채권단과 구제금융 연장 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는 구제금융 연장 협상이 중단된 상황이다. 유로존은 오는 30일이 구제금융 종료일이라고 못박았고, 그리스 정부는 내달 5일 협상안에 대한 국민투표를 치르겠다는 입장이다. 국민투표 결과에 상관없이 구제금융이 중단된 공백이 생긴 것이다.

유로존 18개국 재무장관들은 전날 공동성명에서 그리스 정부는 구제금융 종료로 발생할 금융 체계의 혼란을 안정시킬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며 자본통제 조치를 촉구했다.

은행 영업중단이 결정되면 증시도 휴장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는 그리스 금융 체계의 마비를 뜻한다. 엄청난 후풍폭이 따르지만, 국민투표 결과가 나올 때까지 며칠간 버티는 차원에선 선택 가능하다.

그러나 만일 국민투표에서 협상안 거부 결과로 드러나면 은행 영업이 재개되자마자 유로존 이탈 수순으로 들어선 것으로 판단한 예금자들이 대거 몰려들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고 자본통제 조치도 쉽지 않다. 29일 전격적으로 자본통제 조치를 내리면 일선 은행들에서 대혼란이 초래될 가능성이 크다. 제자리를 찾는 데 최소 사나흘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은행들이 '예금 인출 한도'도 지키지 못한 채 유동성이 바닥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은행이 고객들이 요구한 예금을 돌려주지 못하면 '파산'을 뜻한다.

이에 따라 차라리 선택을 한다면 은행 영업 중단이 낫다고 판단하는 그리스 관리들도 있다.

그리스의 뱅크런은 그리스 정부의 디폴트(채무불이행) 보다 국제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리스 정부가 오는 30일 갚아야 하는 15억유로는 국제통화기금(IMF) 채무다. IMF 채무는 상환일을 지키지 못하면 디폴트가 아니라 공식적으로는 '체납' 상태가 된다. 당장 그리스 정부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뱅크런과 그리스 은행 '채무불이행'은 국제금융시장에 곧바로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