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달라지는 것> 대전 시내버스·도시철도 요금↑
도시재생지원센터 본격 활동…원자력안전협의회 설치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대전 시내버스 및 도시철도 요금이 4년 만에 오른다. 원도심 재생사업을 지원할 '도시재생지원센터'가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고 중앙정부 차원의 '원자력안전협의회'가 설치·운영된다.
▲ 시내버스·도시철도 요금 150원 인상 = 시내버스 요금은 현행 교통카드 1천100원(현금 1천200원)에서 1천250원(현금 1천400원)으로 150원(13.6%) 인상됐다. 어린이와 청소년 요금은 현행대로 동결됐다.
도시철도 요금도 현행 교통카드 1천100원(현금 1천200원)에서 1천250원(현금 1천400원)으로 150원(13.6%) 오른다.
청소년요금은 교통카드를 사용할 경우 이전과 같지만 보통권(교통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이용객이 역에서 발급받은 토큰)은 1천200원에서 1천400원으로 200원 인상된다.
유성구 마을버스 요금도 150원 오른다. 조정된 요금은 카드 1천100원, 현금 1천200원이다.
▲ 대전 도시재생지원센터 본격 활동 = 옛 충남도청에서 문을 연 도시재생지원센터는 도시재생사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지원 사업을 맡게 된다.
대전발전연구원이 위탁·운영하는 센터는 그동안 진행된 물리적 정비사업 중심의 도시재생사업에서 사람·공간 중심의 사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민과 관의 중간조직이다.
센터는 도시재생정책자문단 구성, 시·구·관계기관 상생협의체 구성, 도시재생전략사업 구체화 및 신모델 발굴, 주민아카데미 운영 등의 사업을 7월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2017년부터는 사회적자본지원센터와 통합해 공동체 및 공유 사업도 추진하게 된다.
▲ 원자력안전협의회 설치·운영 = 최근 대전시와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는 지역에 있는 원자력연구원 내 연구용원자로(HANARO) 시설 건물 외벽 일부가 내진설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지적과 관련해 중앙 정부 중심의 원자력안전협의회 설치 등 각종 안전대책을 요구해 왔다.
그동안 지역 내 원자력 시설은 상업용이 아닌 연구용이란 이유로 안전에 대해 소홀한 취급을 받아왔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번에 설치되는 대전지역 원자력안전협의회는 운영지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추천 15명 이내, 원자력안전위원회 1명, 원자력안전기술원 1명 등 20인 이내로 구성된다. 안건에 따라 원자력연구원과 한국원자력연료㈜ 관계자가 배석한다.
시와 유성구에서 위원을 추천하고, 운영세칙을 정하는 등 협의회 구성을 완료하면 7월부터는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가게 된다.
지역에는 약 3만 드럼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임시보관되고 있다.
▲ '인생 이모작지원센터' 운영 = 직장에서 은퇴한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의 사회 참여를 돕고자 7월부터 일자리 통합서비스 전문시설인 '인생 이모작지원센터'가 설치된다.
이 센터는 기업과 연계한 맞춤형 교육시스템을 갖추고 취업 위주의 교육을 하게 된다. 상담 지원, 일감 뱅크 및 커뮤니티 등을 통한 일자리 발굴 등의 업무도 수행한다.
지난해 말 현재 대전의 베이비붐세대는 20만8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13.5%를 차지하고 있다.
▲ '성평등조례' 전국 첫 시행 =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참여와 대우를 받고, 모든 영역에서 평등한 책임과 권리를 공유하는 실질적인 성평등 실현을 위해 '대전광역시 성평등기본조례'가 전국 최초로 시행된다.
조례는 성평등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시의 책무와 시민의 권리·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성평등 정책 추진과 평가를 위한 성평등위원회 신설, 성평등 정책의 효율적 수립·시행을 위한 성평등정책책임관 지정, 여성인재 육성 및 사회참여 확대 근거, 성평등 교육 및 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한 성평등기금 설치, 비영리 법인·민간단체 등에 대한 지원 규정을 담고 있다.
▲ 서구 '공동주택관리지원센터' 설치·운영 = 대전 서구는 아파트 관리비 절감과 부정·비리 척결 전담기구인 '공동주택관리지원센터'를 설치, 운영할 방침이다.
이 센터에서는 공동주택관리 투명성 확보 및 효율적 운영과 관리비 인하 방안 연구 등을 수행하게 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