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의료기관평가위(JCI) 국내 첫 2회 인증·포괄간호서비스도 주목
![]() |
△ 인천시 중구 인항로에 있는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의 전경. <<인하대병원 제공>> 전경 |
'메르스 지킴이' 인하대병원 유일한 환자 완치 퇴원
"의료진 책임 다한다" 원장 메시지…환자 급감 어려움에 격려 쇄도
국제의료기관평가위(JCI) 국내 첫 2회 인증·포괄간호서비스도 주목
(인천=연합뉴스) 신민재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공포 속에서 지역의 대표 의료기관 역할을 톡톡히 한 인하대병원이 인천에서 치료 중이던 유일한 메르스 환자를 완치, 퇴원시켰다.
26일 인하대병원에 따르면 경기도 평택에서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지난 2일 새벽 이 병원으로 옮겨져 입원 치료를 받은 50대 여성이 완쾌돼 이날 오전 퇴원했다.
이 여성은 이미 수차례 검사에서 메르스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기침 등 기존의 호흡기질환 증세가 호전되기를 기다려 왔다.
인하대병원에는 그동안 메르스 의심 증상을 보인 다른 7명의 환자도 격리됐지만 검사에서 모두 음성 판정을 받고 퇴원, 이 병원에는 이날 현재 메르스 관련 환자는 없다.
인천은 경기도 김포·부천·시흥 등 인접 도시에서 잇따라 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하는 와중에도 한 달 넘게 '메르스 청정 지역'을 유지하고 있다.
인하대병원은 경기도의 메르스 환자를 인계해 치료 중인 사실이 알려진 지난 2일 낮부터 환자 수가 30%가량 급감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김영모 인하대병원장은 내부 게시판에 "우리는 국가적 의료 위기 상황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중심병원으로서의 역할을 피하지 않을 것이다. 의료인으로서의 책임을 회피하게 않겠다"는 다짐의 글을 올려 주위에 잔잔한 감동을 줬다.
인하대병원은 메르스 사태 속에서 확진자 치료 이외에도 선별진료실과 격리진료실을 운영하며 매일 65∼70명의 인력을 투입했다.
특히 감염관리실과 격리실의 의료진은 야간이나 휴일 개념도 없는 열악한 근무여건에서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하며 메르스에 맞섰다.
인하대병원이 메르스 대처에 성공을 거둔 요인으로는 의료진의 이런 헌신 이외에도 감염 관리 등에 관한 국제인증을 받았다는 점이 꼽힌다.
인하대병원은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CI·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의 인증을 받은 국내 11개 의료기관 중 하나다.
인하대병원은 이들 의료기관 중에서도 국내 처음 의료원 전 부문 2회 연속 JCI 인증을 받아 주목받았다.
JCI는 원래 1994년 미국에서 자국 내 병원을 평가, 인증할 목적으로 설립된 비정부 비영리 기관이지만 지금은 전 세계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3년마다 환자 안전과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 등 수십 가지 평가항목에 대한 철저한 심사를 거쳐 인증서를 주고 있다.
또 인하대병원은 2013년 7월부터 시범 실시 중인 포괄간호서비스가 메르스 확산을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됐다는 의료계 분석이 나왔다.
포괄간호서비스는 간병인이나 가족 대신 간호사가 중심이 돼 24시간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
지인과 가족 중심의 국내 간병문화는 메르스 감염이 급속히 확산된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적됐다. 포괄간호서비스를 감염에 취약한 한국 병실 환경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하대병원 관계자는 "메르스 사태가 완전히 종식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인천시민의 건강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