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재계 '브렉시트' 둘러싸고 찬반 캠페인 시동
"EU 잔류 전제로 협상해야" vs "개혁 없으면 떠나야"
(런던=연합뉴스) 황정우 특파원 =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이탈) 를 판가름할 국민투표까지 아직 많은 시간이 남아 있지만 영국 재계가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재계 모임인 '비즈니스 포 뉴 유럽'(Business for New Europe·BNE) 회원 50명은 25일(현지시간) 일간 더 타임스에 게재한 공동 서한에서 "우리는 유럽연합(EU)에 잔류하는 것이 영국의 국익에 압도적으로 맞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영국은 5억 인구를 지닌 세계 가장 큰 시장(EU)의 부분일 때 더욱 강력하다"며 "유럽 전체에 적용되는 단일 규정에 따라 자유롭게 교역할 수 있는 데다 EU가 세계 50여개국과 맺은 자유무역협정으로부터도 혜택을 얻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국 각 가정은 영국의 EU 회원국 지위로부터 매년 평균 3천파운드(약 520만원)의 혜택을 얻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EU가 더 효율적이고 능률적이며 경쟁력 있게 개혁돼야 한다는 총리의 요구는 옳다"면서도 "이를 위한 최선의 길은 나가려고 문을 두드리는 게 아니라 집안에서 그것들을 위해 싸우는 것"이라며 협상이 EU 잔류를 위한 개혁 추구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신회사 BT의 마이크 레이크 회장과 에너지업체 'BAE 시스템스'의 로저 카 회장 등이 이 서한에 참여했다.
BNE는 런던 증시의 대표 지수인 FTSE 100 지수 편입 대기업들의 3분의 1을 포함해 약 300개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앞서 다른 재계 모임인 '비즈니스 포 브리튼'(Business for Britain· BfB)은 '변하거나 나가거나'라는 제목의 성명에서 지금의 EU와 영국 간 관계는 의미 있는 개혁 없이는 지속할 수 없는 관계라면서 "개혁되지 않은 EU 밖에 있을 때 영국이 더 번성하고 더 큰 영향력을 쥘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영국이 바라는 의미 있는 EU 개혁이 사실상 어려운 만큼 EU에서 탈퇴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만 재계를 대표하는 영국상공회의소(BCC)는 EU 규제에 대한 선택적 적용 권한을 포함한 재계를 위한 5개 EU 개혁 요구사항만 공개한 채 찬반 입장을 정하지 않고 있다.
한편 캐머런 총리는 이날 브뤼셀에서 열리는 EU 정상회의에서 EU 협약 개정에 관한 첫 공식 연설을 할 예정이다.
캐머런 총리가 이 연설에서 영국 정부의 EU 협약 개정 요구사항들을 내놓을지 관심을 끌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