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헬기 통합지휘체계 구축…"재난현장 혼란 방지"
안전처·경찰청·산림청 '헬기 표준운영절차' 수립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작년 세월호 침몰 사건 당일 구조활동을 펼치기 위해 출동한 해양경찰 헬기와 소방 헬기가 사고 해상에서 자칫 충돌할 뻔한 순간이 있었다. 두 기관이 각각 헬기 작전을 펼치면서 통합 관제가 이뤄지지 않아 벌어진 일이었다.
재난 현장에서 이러한 혼란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헬기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국가기관 헬기 통합지휘체계가 하반기에 가동된다.
국민안전처·경찰청·산림청은 국가기관 헬기 통합지휘체계 운영에 관한 내용을 담은 '국가기관 헬기 표준운영절차'를 수립해 다음달부터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국가기관 헬기 통합지휘체계가 구축됨에 따라 현장지휘 통신 공통주파수와 기관별 헬기 호출부호가 정해지고 관제시스템도 연계 운영된다.
해양경찰과 산림청은 이미 관제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소방은 내년 4월까지 시스템 구축을 마칠 예정이다. 경찰은 내년에 관제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2017년부터는 각 기관의 관제시스템이 연계된다.
재난 현장에서 헬기 작전 지휘권은 재난 유형별 주관기관이 맡는다.
다만 비무장지대 등 군사지역은 군의 통제를 받게 된다.
국방부는 지원기관으로 이번 국가기관 헬기 통합지휘체계에 참여한다.
현재 국가기관 헬기는 소방 27대, 해양경찰 17대, 경찰 19대, 산림청 45대 등 108대가 있다.
안전처는 "헬기 통합지휘체계가 운영되면 재난 현장에서 서로 다른 기관의 헬기가 일사불란하게 작전을 수행할 수 있어 효율과 안전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