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한옥·현대한옥까지 개·보수 지원
'서울한옥자산선언' 발표…한옥지원센터 개설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서울시는 그동안 한옥 밀집지역에 있는 전통한옥만 개·보수를 지원했으나 앞으로는 서울 전역의 도시한옥과 양옥이 결합한 한옥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또 119개념의 한옥지원센터가 설립돼 보수가 필요한 한옥에 한옥장인이 즉각 출동해 한옥을 점검하고 보수하게 된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으로 2020년까지 추진할 한옥정책 장기종합계획인 '서울한옥자산선언'을 25일 발표했다.
7월 중 서울 계동한옥에 문을 여는 한옥지원센터는 보수 요청이 들어오면 대목과 소목, 미장, 철물, 창호 분야의 한옥 장인이 즉각 출동해 한옥을 보수해 줄 계획이다.
센터는 장마철과 겨울철에도 한옥을 점검하는 한편 한옥과 관련한 기본 정보와 한옥 관련 업체와 장인 목록, 한옥 관련 정책과 연구 정보 등을 제공한다.
한옥과 관련된 정보를 한 곳에 모은 한옥포털도 내년 2월 중 개설한다.
시는 그동안 한옥 전체를 보수할 때만 비용을 지원했던 것에서 벗어나 지붕을 고치는데도 1천만원 한도로 비용을 지원한다. 비용 외에 기와 등 물품도 지원한다.
또 기존에는 북촌과 같은 특정 한옥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전통한옥에 한해 개·보수를 지원했지만 앞으로는 서울시 전역의 도시한옥(전통한옥 양식을 다 갖추지는 않았지만 1920∼1960년대 지어진 한옥)과 양옥과 결합한 한옥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9월에는 한옥미를 잘 살린 한옥건축을 명품한옥으로, 건축에 참여한 장인을 한옥명장으로 선정해 인증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도 도입한다.
목재유통센터와 한옥공장, 한옥교육원을 건립 중인 횡성군과 협업해 목재와 기와 같은 한옥 자재를 대량으로 싼 값에 구매하고 적기에 공급할 방침이다.
시민의 한옥 체험 기회를 늘리기 위해 어린이집과 주민센터, 학교 등에 한옥 형태를 적용한 공공한옥도 현재 34곳에서 2020년까지 1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단순히 한옥을 지키는 것을 넘어 좋은 주거문화로서 시민의 일상에 함께하는 한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보전과 일상이 양립하는 새로운 한옥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