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카자흐스탄 알마티 시내 모습 거리 도시 전경 (연합뉴스 DB). |
러시아 경제위기 중앙아시아에도 불똥
타지크·우즈베크 이주노동자 송금액 절반으로 '뚝'
(알마티=연합뉴스) 김현태 특파원 = 러시아의 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옛소련권 중앙아시아 지역에 여전히 불똥이 튀고 있다.
23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물류업계에 따르면 이달 초부터 통관절차가 까다로워져 개인 수입업자들이 피해를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자흐 경제중심지 알마티에서 유통업에 종사하는 최호영씨는 이날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요즘 컨테이너가 잘 들어오지 않는다는 얘기를 주변에서 많이 듣는다. 주요 물류창고에 가보면 물건이 없어 텅 빈 것을 자주 본다"고 말했다.
또 현지 물류업체 관계자는 "통관이 길어지며 고객(수입업자)들이 손해를 줄이고자 출발지에서의 발송시기를 늦춰달라고 요청하고 있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도 "통관이 길어지며 상품 훼손 등으로 피해를 본 업자들의 불만이 높지만, 일부 품목은 통관날짜를 기약할 수 없을 정도다"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현지 물류업계는 러시아가 자국산업을 보호하고자 중국 등에서 카자흐로 오는 물품에 대한 통관절차를 강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러시아와 카자흐는 2011년 관세동맹을 맺었다.
현재 카자흐로 들어온 수입품은 추가관세 없이 러시아로 들어갈 수 있으며 카자흐 국경에는 러시아 세관원들이 파견돼 통관업무를 공동관리하고 있다.
아울러 러시아에서 오는 수입품은 통관이 원활하나 중국 등에서 오는 물건은 거의 전수조사를 하는 것으로 전해져 러시아가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의도적으로 카자흐의 통관을 강화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문제는 통관 강화로 러시아는 웃지만, 카자흐 내수경제는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루블화 급락으로 가격경쟁력이 높아진 러시아산 제품은 이미 카자흐 시장을 휩쓸었다. 산유국인 카자흐에서는 실제 러시아산 제품의 범람 및 저유가로 작년 한 해만 국내 중소기업 수가 86% 급감하고 자영업자의 82%는 폐업했다.
최근의 통관 강화는 카자흐에 득보다는 러시아산 제품의 독과점만 강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에서 일하는 자국민 노동자의 송금액이 주 소득원인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도 송금액 급감으로 경제가 휘청대고 있다.
러시아 통계청이 지난 17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러시아에서 타지키스탄으로의 송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8% 급락한 3억6천400만 달러, 우즈베키스탄은 49% 떨어진 4억6천만 달러에 그쳤다.
가난한 산악국가인 타지키스탄은 특히 한해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을 이주노동자가 보낸 송금액이 차지해 송금액 급감에 따른 여파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
타지키스탄은 이미 지난해 송금액이 2013년보다 8% 줄자 자국통화가치가 약 20% 동반하락하며 올해 4월 시중환전소에서 개인의 환전을 전면 금지하는 등 몸살을 앓은 바 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은 앞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긴장이 중앙아시아에 중단기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IMF는 덧붙여 2016년까지 이 지역 성장이 둔화할 것으로 내다보며 역내국가들이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기존의 경제성장 방식을 개혁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