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작년 7월 1일 열린 통합시 출범식.<<연합뉴스 DB>> |
<민선 6기 1년> 성공적 결합 통합청주시 새 도약 모색
시너지 효과로 경제 성장…청사 건립·노인병원·CI 갈등 해결 '과제'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다음 달 1일은 청주시와 청원군이 역사적인 행정구역 자율 통합을 이룬지 꼭 1주년이 되는 날이다. 먼선 6기와 더불어 출범했다.
충북 민선 6기 1년을 평가하는데 있어 통합 청주시 1년의 과정을 빼놓을 수 없는 이유다.
양 지역은 '3전4기' 끝에 2012년 6월 27일 통합을 결정한 데 이어 작년 7월 1일 통합시를 출범했다. 원래 한 몸이었다가 1946년 미군정 법령에 따라 청주부와 청원군으로 갈린 지 68년만에 재결합했다.
통합 청주시는 진통은 있었지만 민선 6기 1년을 보내면서 자리를 완전히 잡았다. '지역 통합'에 이어 주민들 간 '화학적 통합'까지 이루려면 많이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는 우려는 결과적으로 기우가 됐다.
시청사 소재지 등 문제를 둘러싼 대립과 반목으로 통합시를 다시 분리하자는 주장까지 나왔던 창원시(창원·마산·진해시)와는 대조적인 행보를 보였다.
통합 청주시의 빠른 안정은 자율 통합 덕분이다. 통합의 열쇠를 쥐고 있던 옛 군민들은 주민투표에서 이전 세 차례(1994·2005·2010)와 달리 찬성표를 훨씬 많이 던졌다. 옛 청주시와 청원군이 내놓은 75개 상생발전방안의 진정성을 믿은 것이다.
통합의 기폭제가 된 상생발전방안은 현재 80% 60건이 이행 완료됐다.
◇ 물리적 통합 넘어 화학적 통합도 '마침표'
지난 12일 청주문화원과 청원문화원이 기다렸던 통합에 골인했다.
문화원이 자치단체 보조금을 받는 45개 중복 민간사회단체 가운데 유일한 미통합 단체였다는 점에서 통합 선언의 의미는 대단히 컸다. 화학적 통합에도 마침표가 찍힌 것이다.
물론 지난 1년간 잡음이나 사소한 갈등이 없지는 않았다.
시는 읍·면 지역 산지 난개발을 막기 위해 조례로 개발행위 허가 기준(평균 경사도) 등을 강화할 예정이었다.
그러자 옛 청원 지역 주민들이 재산권 침해라며 펄쩍 뛰었다. 옛 군민들이 집단 행동을 예고하자 시는 '화합의 통합시'를 위해 규제 강화 방침을 접었다.
제2쓰레기매립장 입지 후보지 공모 과정에서는 미원면 등에서 주민 간 찬반 갈등이 빚어졌다. 제2매립장이 '통합 후회론'의 진원이 될 것 같았다.
다행히 이 갈등은 시가 응모 조건을 대폭 완화해 추진한 4차 공모에서 예상치 않게 흥덕구 신전동과 오창읍 후기리가 신청서를 제출, 자연스럽게 봉합됐다.
경력과 승진 연한을 따지지 않고 시·군 공무원들을 본청 등에 기계적 비율로 배치해 통합시 출범 초기 파열음을 냈던 공직사회도 어느덧 안정화 단계로 접어들었다.
근무 환경 차이에 따른 이질감과 서로를 경계하던 분위기도 상당 부분 극복됐다.
◇ 통합 시너지 효과 현실로…신수도권 거점 부상
5월 말 현재 청주시의 인구는 외국인을 합쳐 84만1천396명으로 준광역시급이다.
도시 형성 초기 단계여서 집값이 비교적 저렴한 세종시로의 인구 유출이 한동안 문제가 됐다. 그러나 세종시로의 엑서더스는 일시적 현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시는 2030도시기본계획상의 인구를 105만명으로 설정했다. 국토의 중심인 청주의 성장 잠재력을 반영한 수치다.
통합시 출범은 청주의 경제적 몸집을 '중량급'으로 키웠다.
옛 청원군, 나아가 충북도의 경제적 자랑거리였던 오송생명과학단지와 오창과학산업단지 등은 청주의 경쟁력을 배가시켰다.
KTX 오송역은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명실공히 고속철도 분기역의 위상을 공고히 하면서 청주공항, 중부·경부·청주-상주고속도로 등과 함께 '사통팔달 청주'를 대변하고 있다. 공전하던 오송역세권 개발도 본격 추진되고 있다.
'일등 경제 으뜸 청주'를 슬로건을 내세운 민선 6기 청주시는 국내외 기업 투자협약과 공장 신·증설 등 1년간 270개 업체로부터 2조2천170억원의 투자 유치 실적을 거뒀다.
이에 따른 고용 창출 효과는 6천840명으로 집계됐다. 행정구역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톡톡히 보면서 신수도권 성장 거점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 현안 둘러싼 갈등 노출…통합 시정 다사다난
청주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이승훈 초대 통합시장은 취임 후 유난히 소통을 강조했다. 소통 행보는 '시민과의 토요 데이트'로 시작했다.
시민의 가려운 곳을 직접 긁어주겠다는 것이었다. 작년 7월부터 지금까지 92회에 걸쳐 223명의 시민을 만나 82건을 해결했으니 '소통 시장'의 면모는 갖춘 셈이다.
옛 시와 군 지역에 다르게 적용되던 택시요금 체계를 1년간 손대지 않았던 것도 택시업계의 손실 감소 주장에 귀 기울인 소통 행정의 하나라고 볼만하다.
시는 1년간의 기다림 끝에 옛 군 지역 복합 할증률을 55%에서 35%로 내리는 것을 택시업계와 합의, 다음 달 1일부터 시행한다.
그런데 이 시장에게는 불통 이미지도 덧씌워져 있다.
자신의 제1호 공약인 청주공항 항공정비(MRO) 단지 조성과 관련, 충북도와 사업비를 분담하는 방안을 외부에서 먼저 공개했다가 시의회로부터 호된 질책을 받았다.
통합시 청사 건립 현안과 관련해서는 주변 건물 매입 후 신축을 추진하다가 예산 문제로 리모델링 검토까지 지시, 줏대 없다는 일각의 비난을 받았다.
옛 청주 연초제조창 중심 도시재생 선도지역 활성화 계획 수립과 청주시 새 상징마크(CI) 개발 과정도 일방통행식이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 새 CI와 노인전문병원 사태 당면 과제
이 시장은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섰다.
새 CI를 졸속 개발했다며 새정치연합 시의원들의 공격을 받더니 "여야가 합의할 때까지 외부 시설물에 대한 새 CI 사용을 보류하겠다"는 발언으로, 관련 조례를 단독 처리해 준 같은 새누리당 의원들로부터도 곱지 않은 시선을 받고 있다.
시의회가 'CI 갈등'으로 공전 중인 가운데 이 시장도 딜레마에 빠진 형국이다.
일각에서는 이 시장이 취임 후 말실수로 몇 차례 곤욕을 치렀던 점에 주목, 최소 CI 갈등과 관련해서는 의회가 스스로 풀도록 입조심을 하거나 수면 아래에서 의회 정상화를 위한 중재 노력을 벌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시장이 지휘봉을 잡은 청주시는 시립 청주노인전문병원 정상화를 견인할 임무도 안고 있다.
노인전문병원은 노조와 대립했던 전 원장의 의료기관 개설 허가증 반납으로 지난 5일 자로 임시 폐업했다. 새 수탁자로 결정된 청주병원도 노조 문제로 수탁자 지위를 내려놓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시는 청주병원이 수탁 권리를 포기하면 애초 계획대로 수탁 자격을 지역에서 전국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조례 개정을 통해 민간위탁운영자 전국 공모에 들어갈지, 아니면 전국 공모에 반대하는 지역 의료계 등의 의견을 반영할지 등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한다.
통합시가 별다른 갈등 없이 안착했고 통합에 따른 경제효과도 누리며 부러움의 대상이 됐지만, 오는 11월 결정하기로 한 통합 시청사 건립 방향 등을 포함, 행정적으로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