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광주U대회' 불참으로 민간 남북교류 위축되나(종합)

편집부 / 2015-06-22 17:59:17
정부 관계자 "정치, 군사적 이유로 불참 통보 유감"
△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페이스북 개설(연합뉴스 자료사진)

北 '광주U대회' 불참으로 민간 남북교류 위축되나(종합)

정부 관계자 "정치, 군사적 이유로 불참 통보 유감"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북한이 다음 달 초 개최되는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광주U대회)에 불참한다고 통보함에 따라 민간 차원의 남북교류마저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광주U대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9일 조직위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다음 달 3일 개막하는 광주U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혔다.

북한은 '유엔 인권기구 서울사무소 개소'와 '남측의 군사대결 계속' 등을 광주U대회 불참 이유로 꼽은 것으로 전해졌다. 남측에서 유행하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를 불참 이유로 꼽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북측은 U대회 주최기관인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에도 이메일로 불참 의사를 통보했고, FISU 측도 북측의 이런 의사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광주U대회 불참 사유로 제시한 유엔 인권기구 서울사무소는 오는 23일 서울 종로구 글로벌센터에서 개소한다. 이번에 설치되는 유엔 인권기구 서울사무소는 북한의 인권 침해 문제에 대한 유엔 차원의 대응을 위한 기구다.

북한은 자국의 인권상황을 감시할 유엔 인권기구 서울사무소 개소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다.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지난달 29일 서기국 보도를 통해 "유엔 북인권사무소가 서울에 끝끝내 설치된다면 공공연한 대결 선포로 간주하고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무자비하게 징벌하겠다"고 위협했다.

지난 15일 유럽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선 김영호 주제네바 북한대표부 참사관이 "유엔 북한인권사무소는 진정한 인권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인권의 정치화일 뿐이며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를 전복하려는 정치적 음모"라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인권은 인류보편적 가치 차원의 문제로 이번 유엔 인권사무소와 같은 유엔 국제기구를 우리나라에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북한당국은 이 같은 유엔의 북한인권 사무소 설치에 대해서 비난할 것이 아니라 북한주민의 인권상황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 유엔 및 국제사회와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북한이 광주U대회 불참 사유로 '남측의 군사대결 계속'을 꼽은 것은 오는 8월 중순에 시작되는 한미 연합 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이 광주U대회 참여 의사를 밝히고 지난 4월에는 '대표단장(HoD·Head of Delegation) 사전회의'까지 참석한 상황에서 갑자기 불참 의사를 통보함에 따라 다른 민간 남북 교류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남북 축구를 비롯해 사회·문화·체육 분야의 남북 교류행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이 정치, 군사적인 이유로 스포츠 행사인 광주U대회 불참을 통보한 것은 유감"이라며 "전반적인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칠지는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당초 북한은 지난 3월 육상, 다이빙, 기계체조, 리듬체조, 탁구, 유도 등 6개 개인종목과 여자축구와 핸드볼 등 2개 단체 종목에 나설 선수 75명과 임원 33명 등 총 108명의 선수단을 광주U대회에 파견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