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언론 "한일접근, 개선 아닌 악화 방지가 목적"

편집부 / 2015-06-22 17:35:05
"美, 역사문제 무시하고 또 '화해강제'…후환 무궁할 것"
△ '한일협정 페기하라'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한일수교 50주년을 맞은 22일 오후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 앞에서 시민단체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회원들이 한일협정폐기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15.6.22 saba@yna.co.kr (끝)

중국 관영언론 "한일접근, 개선 아닌 악화 방지가 목적"

"美, 역사문제 무시하고 또 '화해강제'…후환 무궁할 것"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중국 관영언론은 한일정상이 국교정상화 50주년 행사에 교차 참석하기로 하는 등 양국관계 개선의 조짐이 보이는 상황에 대해 "양국의 '소극적 접근'은 관계개선보다는 추가적인 악화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화통신은 22일 '일본과 한국의 소극적 접근은 역사적 현안을 풀기 어렵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일, 한이 국교정상화 50주년을 계기로 외교적 마찰과 정체를 바꾸기 위한 돌파구를 찾고 있지만, (군)위안부 문제로 대표되는 역사현안은 해결의 방향을 찾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또 일본언론을 인용, 양국이 일본 산업혁명 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과정에서 조선인 강제징용 사실을 반영한다는데 사실상 합의한 점에 대해서도 "양측이 서로 양보했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신화통신은 역시 일본언론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양국의 관계개선 기류는 박근혜 대통령이 외교적 고립을 탈피하라는 국내 여론과 미국 압력으로 지난 5월 한일관계에 대한 '투트랙 정책'을 전개하면서 시작됐다고 전했다.

이어 "이 '투트랙 정책'은 역사·영토문제와 경제·안보 협력 문제를 분리해 처리하고 군 위안부 등 역사문제가 양국 교류의 통로를 완전히 막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한일 재무장관 회의가 2년 반 만에 재개되고, 국방장관 회담이 4년 만에 열렸다고 덧붙였다.

신화통신은 그러나 앞으로 한일 정상회담이 실현된다 해도 역사마찰, 영토분쟁, 국민감정 악화, 동북아시아의 전략적 위치 등에 관한 문제는 여전히 양국 간의 중요한 난제로 남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엇보다 '미국에 의한 강제 화해'의 문제점을 부각하고 나섰다.

신화통신은 '전문가'를 인용, 미국의 냉전전략 아래 체결된 '한일기본조약' 등은 일본의 식민통치와 전쟁책임 문제를 회피하고 역사문제의 화근을 심었다며 미국은 오늘날에도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따라 양국의 역사문제 등을 무시하고 화해를 강제하고 있어 "아마도 같은 후환이 무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한일 당국의 행보에 대한 중국정부의 반응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