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득구 경기도의회 의장 "연정 추진과정 소통 고민해야"

편집부 / 2015-06-22 06:31:21
예결위 상임위화 반대…지역상담소 8월말까지 모든 시·군 설치

강득구 경기도의회 의장 "연정 추진과정 소통 고민해야"

예결위 상임위화 반대…지역상담소 8월말까지 모든 시·군 설치



(수원=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강득구 경기도의회 의장은 22일 "연정(聯政) 추진과정에서의 도와 도의회 소통 부족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강 의장은 취임 1주년을 앞두고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지난달 도의회 혁신 및 지방분권강화 특별위원회의 도의원 대상 설문조사결과 연정 추진과정에서 의회와의 소통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55%에 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위 조사에서 연정 추진과정이 형식적이라는 견해가 42%였다는 점도 강 의장은 강조했다.

그는 "당초 연정이 정치공학적인 계산이 아니라 상생과 소통을 통해 도민에게 희망을 주는, 좋은 정치의 새로운 모델을 가자는 취지로 시작된 만큼 다시 한 번 반성하고 점검해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강 의장은 그러나 "연정에 대한 가치는 여전히 동의한다"고 했다.

남경필 지사가 예산 연정을 위해 제안한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상임위화에 대해서는 사실상 반대 의견을 내놨다.

강 의장은 "도의원 10명 중 6명이 반대한다"며 "현재의 틀 속에서 예결위가 더욱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에 대한 고민과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방의회 독립과 관련한 지방자치법 개정에도 목소리를 높였다.

강 의장은 "의회사무처 직원의 인사권 독립을 추진하고 지방의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정책보좌관제를 도입해야 한다"며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와 협력해 지방자치법 개정을 위해 애쓰겠다"고 말했다.

강 의장은 지난 3월 전국 지방의회 최초로 운영하는 지역상담소의 역할에 대해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지역상담소가 도민 소통을 위한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현장 중심의 의정 활동을 강화하는 지역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현장에서 의정 활동에 필요한 자료를 즉각 수집 및 검토할 수 있는 있는 장점도 있다"고 평가했다.

현재 18개 시·군에서 운영 중인 지역상담소를 8월 말까지 31개 전 시·군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강 의장은 설명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