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급식 논란에 교육행정 '흔들'…지자체와 공조 아쉬움
<교육감 취임 1년> 경남교육 '무상급식 혼란 속 혁신'
경남 첫 진보교육감 "소통과 공감의 교육혁신 시도"
무상급식 논란에 교육행정 '흔들'…지자체와 공조 아쉬움
(창원=연합뉴스) 황봉규 기자 = "우리는 지난 교육을 반성하고 참회해야 합니다. 뉘우침과 다짐의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경남지역 98개 시민사회단체로부터 '좋은 교육감' 후보로 선정돼 경남에서는 첫 진보 성향 교육감으로 당선된 박종훈 교육감은 21일 취임 1주년을 앞두고 지난 1년간 자신이 추구한 '새로운 경남교육'에 임한 자세를 이처럼 표현했다.
그동안 잘못된 관행과 제도에 파묻힌 낡은 교육행정을 반성하고 교육현장에 새 바람을 불러 일으키려는 시도의 연속이었다.
실제 박 교육감은 '아이들을 중심에 두는 새로운 경남교육'이라는 비전을 내 걸고 소통과 공감의 교육, 안전하고 행복한 교육복지, 배움 중심의 새로운 교육 등에 주안점을 둔 행보를 시작했다.
교육감 취임 직후 온라인 공간에서 학생과 학부모, 교사·교직원, 교직원단체, 시민단체, 도민으로부터 신임 교육감에게 바라는 의견을 듣고 답변하는 소통의 시간부터 가졌다.
이러한 의견을 들어 배움 중심의 새로운 교육, 소통과 공감의 교육공동체 실현, 안전하고 건강한 교육환경 조성, 행복한 교육복지, 깨끗하고 공정한 지원행정 등경남교육 방향을 설정했다.
학생은 즐겁고 교사는 신명나며, 학부모들은 학교를 신뢰하는 경남형 혁신학교 11개교를 선정했다.
행복한 책읽기 문화 조성과 폭력 없는 공감학교 만들기, 교사 행정업무 획기적 감축을 역점과제로 마련했다.
특히 방과 후 수업, 야간자율학습, 연구학교 등을 폐지하고 교사들의 업무부담을 덜어주는 '학교업무 다이어트 프로젝트' 일선 교육현장의 폐단을 조금씩 바로잡아 나가는 첫 걸음이었다.
이 프로젝트를 실천하려고 도교육청은 본청 직원 70여 명을 줄여 일선 시·군교육지원청으로 배정해 학교 지원을 강화했고, 교사들의 업무를 줄여나가고 있다.
작년 말 부활한 고입 선발고사를 2016학년도 입시부터 폐지해 학생들의 시험 부담도 줄였다. 학교교육 정상화 방안의 하나로 평준화지역 일반고등학교 배정방식도 변경했다.
학생 희망만을 반영하는 기존 배정방식을 벗어나 학생 전형성적을 '9등급'으로 나눠 등급렬로 학생들이 지망하는 학교에 배정했다. 일반고 간 교육격차, 고등학교 서열화, 학교 간 성적 쏠림현상, 비선호학교의 기초학력 저하 등을 없애려는 조치다.
하지만 다양한 교육혁신 노력과 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불거진 무상급식 논란에 묻혀 퇴색했다.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지자체가 지원하는 무상급식 예산에 대한 감사를 하겠다고 나선 것을 계기로 촉발된 논란은 급기야 지난 4월 일선 학교의 무상급식 중단으로 이어졌고 학부모와 시민단체의 거센 반발을 샀다.
그러나 박 교육감은 경남도와 일선 시·군의 무상급식 지원 중단에 대응하는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해 "교육행정이 무상급식 혼란에 매몰됐다"는 지적을 받았다.
'소득별 선별적 무상급식'이 핵심인 경남도의회의 무상급식 중재안도 학부모 의견 수렴을 명분으로 시간만 끌었다. 정작 학부모 의견 수렴 설문조사는 중단한 채 갑자기 중재안을 거부해 도의회의 공분만 샀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이 같은 아쉬움에도 박 교육감은 취임 2년차 '배움이 즐거운 학교'라는 교육본질에 더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보다 추진 중인 정책들을 알뜰하게 챙겨 교육혁신을 점진적으로 이뤄나가겠다는 의지다.
박 교육감은 "교육혁신은 결국 교실 수업의 혁신이기 때문에 앞으로 교육본질 추구에 더 매진하겠다"며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 과정을 평가하는 서술식 평가제, 협력적 학습을 이끄는 연수 지원, 창조적이고 탄력적인 수업이 가능한 학교문화의 민주화 등 인성과 학력이라는 교육 본질을 실천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