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취임 1년> 대구 '행복·인성교육' 발판 구축

편집부 / 2015-06-21 06:31:09
행복학교 지정·인문소양 교육…하반기 자유학기제 전면시행
초등 전면 무상급식 시행 등 일부 공약 이행 못 해

<교육감 취임 1년> 대구 '행복·인성교육' 발판 구축

행복학교 지정·인문소양 교육…하반기 자유학기제 전면시행

초등 전면 무상급식 시행 등 일부 공약 이행 못 해



(대구=연합뉴스) 한무선 기자 = 대구시교육청은 지난 1년간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 시스템을 구축하고 바른 품성과 행복 역량을 갖춘 인재 육성에 초점을 맞춰 교육행정을 폈다.

더구나 교사가 더욱 존경받는 교육문화 정착, 지역·소득 격차를 좁히는 교육서비스 상향 평준화, 글로벌 인재 양성 등에 힘을 쏟아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우동기 교육감은 42개 정책과제와 148개 세부과제를 설정해 이 가운데 61개 과제를 완료했고 85개 과제는 계속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초등학교 무상급식 전면 시행, 대구행복교육정책연구소 설립 등은 예산이 없어 아예 착수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시교육청은 지난 1년 동안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교육안전담당관 신설하고 교육안전종합상황실을 설치했다.

또 현장체험학습 때 사전안전영향평가제 실시를 의무화했고 배움터 지킴이 확대 배치, 학교폭력과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화소 CC(폐쇄회로) TV 설치 사업 등을 벌였다.

그 결과 지난해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피해 응답률이 3년 연속으로 전국 최저 수준으로 나왔다.

바른 품성과 행복 역량을 갖춘 인재 육성을 위해 행복역량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개발해 보급하고 2018년까지 행복 역량교육 전문가 1천명을 양성하기 위한 연수를 진행 중이다.

또 올해 2학기부터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함으로써 학생 적성 발견과 진로 탐색을 돕기로 했고 올바른 인성 함양을 위해 인문학 권장 도서 100권 읽기 운동을 벌이고 있다.

교사가 존경받는 교육문화 정착으로는 교육지원청 기능을 초·중·고 중심으로 개편해 학교현장 지원을 강화하고, 학교장 책임 경영을 기초로 하는 자율학교인 행복학교를 모두 23개교로 늘렸다.

게다가 학교 평가를 절대 평가로 전환하고 교원업무 매뉴얼을 개발·보급해 교원 업무를 줄이는 정책을 폈다.

교사를 위한 인문학 교육에도 나서 2016학년도 신규교사 임용 시험 때 면접에 인문정신 소양 평가를 도입하기로 했으며 인문학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역·소득 격차를 좁히는 교육서비스 상향 평준화를 위해서는 공립 특수학교인 대구세명학교에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설립해 직업교육과 소득교육을 지원했다.

이와 함께 학교 내 예술교육 활성화, 예·체능 진로집중과정 운영, 초등돌봄교실 확대 등에 나섰다.

이밖에도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해 범어지하상가에 대구글로벌스테이션을 개장해 운영하고 있고, 교육국제화특구 사업도 계속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공약 이행에 힘을 쏟았으나 초등학교 무상급식 전면 시행, 대구행복교육정책연구소 설립·운영 등은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차질을 빚고 있다.

애초 시교육청은 올해 초등학교 1∼2학년을 시작으로 연차적으로 2017년까지 초등학교에 전면 무상급식을 하기로 했으나 재정난으로 당장 올해부터 드는 추가 재원 87억원도 확보하지 못했다.

행복교육 정책을 통합·체계적으로 연구·개발하고 대구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올해부터 연간 30억원을 출연해 대구행복교육정책연구소를 설립하기로 한 계획 역시 재정난으로 손조차 대지 못하고 있다.

우 교육감은 "취임 후 1년간 공약 이행 목표치에 도달한 과제가 40%가 넘어 출발이 순조롭다"며 "재정난으로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 사업들은 당초 공약 취지와 목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핵심으로 내세운 행복교육이 너무 추상적이고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일선 학교에서는 이와 관련한 업무 지시와 결과물 제출에 대한 요구가 많아 업무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며 교사들이 하소연하고 있다.

또 하반기에 전면 시행하는 자유학기제를 놓고 체험시설 등 인프라를 충분히 갖추지 않아 우려스럽다는 목소리가 학교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구지부 성주연 정책실장은 "학업은 학업대로, 행복교육은 행복교육대로 하라는 것은 현실을 외면한 전시·홍보 행정이다"고 지적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