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대선전 본격화> '포스트 마잉주' 양안관계 향배는

편집부 / 2015-06-21 06:00:13
'친중국' 국민당-'독립성향' 민진당 승자 따라 변화 불가피


<대만대선전 본격화> '포스트 마잉주' 양안관계 향배는

'친중국' 국민당-'독립성향' 민진당 승자 따라 변화 불가피



(타이베이·상하이=연합뉴스) 노해랑 통신원 한승호 특파원 = 내년 1월 16일 대만 총통선거(대선)에서 정권교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양안(兩岸:중국과 대만)관계 변화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집권 국민당의 훙슈주(洪秀柱·67) 입법원 부원장과 차이잉원(蔡英文·58) 민진당 주석의 대결로 압축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양안정책에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차이 주석은 최근 민진당이 정권교체를 이루더라도 현행 양안 협력관계를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국민당 측은 대만 독립노선을 추구해온 민진당에 의심의 눈길을 보내며 구체적인 정책 기조를 밝혀줄 것을 촉구하는 상황이다.

대만에서는 1996년부터 총통 직선제가 실시된 이래 친중국 성향을 보여온 집권 국민당과 대만 독립노선을 추구해온 제1야당인 민진당이 번갈아 집권하면서 양안관계에도 상반된 정책이 펼쳐졌다.

1986년 창당 시기부터 대만 독립을 정당의 기조로 내세운 민진당이 2000년 제10대 총통선거에서 처음으로 정권교체에 성공했다.

1980년대 대만 민주화 운동의 핵심인물이자 타이베이(臺北)시장을 지낸 천수이볜(陳水扁) 민진당 후보가 39%의 득표율로 총통에 당선됐다.

천 전 총통 집권시절(2000~2008년) 중국과 대만이 각각 한 개의 국가라는 뜻의 '일변일국론'(一邊一國論)을 주장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워온 중국과 갈등을 빚어 왔다.

반면 당시 야당인 국민당은 2005년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60년 만에 첫 국공(國共) 수뇌회담을 여는 등 중국과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한 공을 들였다.

천 전 총통은 야당 통합 후보로 손을 맞잡은 롄잔(連戰) 국민당 주석, 쑹추위(宋楚瑜) 친민당 주석과 격돌한 2004년 선거에서 3만표( 0.2%)의 근소한 차로 앞서며 연임에 성공했다.

그러나 천 전 총통 임기중 대만의 경제성장 둔화에다 부정부패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그의 지지율이 10%대로 하락했다.

2008년 대선에서 타이베이시장을 지낸 마잉주(馬英九)를 후보로 내세운 국민당은 민진당의 셰창팅(謝長廷) 후보를 상대로 220만 표(17%)의 득표차를 보이며 정권을 탈환했다.

마 총통은 취임 이후 양안정책의 기본 원칙인 '92컨센서스'(92공식·九二共識)를 강조했다.

92컨센서스는 1992년 홍콩에서 중국의 해협양안관계협회(해협회)와 대만의 해협교류기금회(해기회)가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각자의 해석에 따른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합의를 일컫는다.

또 마 총통은 '경제가 우선이고 정치는 다음이다'(先經後政), '쉬운 일이 우선이고 어려운 일은 다음이다'(先易後難)라는 대(對)중국 관계 기본 기조를 견지했다.

그는 차이잉원(蔡英文) 민진당 후보와 맞붙은 2012년 대선에서 80만 표(6%) 앞서면서 연임에 성공했지만 집권 2기는 순탄치 않았다.

2010년 9월, 양안은 포괄적 경제협정인 경제협력기본협정(ECFA)의 정식 발효로 중국과 대만을 아우르는 '차이완'Chiwan) 시대의 개막을 알렸으나 후속 협정인 서비스무역과 상품무역 협정 논의가 반대 세력에 부딪히게 된다.

2014년 3월 대만 학생운동 단체가 중국과의 서비스무역협정 비준에 반대하며 입법원(국회) 본회의장을 점거해 장기 농성을 벌여 양안 교류가 주춤거리게 됐다.

마 총통은 중국과의 경제협력 후속안 추진 과정에서 야당 진영과 학생들의 반대 외에도 같은 당의 왕진핑(王金平) 입법원장과의 마찰이 장기화하면서 한때 지지율이 9%로 급격히 떨어지기도 했다.

지난해 11·29 지방선거에서 국민당은 타이베이 등 대만 시·현급 단체장 22석 중 6석만 확보하는데 그치는 참패를 당했다.

'국민당 표밭'으로 여겨지던 타이베이, 타이중(臺中), 타오위안(桃園) 등 중북부 지역의 유권자들이 등을 돌리면서 국민당에 충격을 안겨 줬다.

승리를 거둔 민진당은 여세를 몰아 이번 대선에서 정권 교체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내년 대선에서 집권 국민당이 신뢰를 회복해 재집권할 경우는 양안관계에 탄력이 붙을 수 있지만 민진당이 정권을 탈환할 경우는 양안정책의 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