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국 연준 기준금리 동결 (워싱턴 AP=연합뉴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17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준은 이날 '미국 경제가 올해 초 슬럼프 이후 강화됐으나 금리를 인상하기 전에 노동시장이 더 개선되고 인플레이션율이 더 높아지는 것을 보길 원한다'고 밝혔다. ciy@yna.co.kr |
"시점보다 경로"…가시화된 '옐런식 소통법'
옐런 미 연준의장, FOMC 회의결과 기자회견서 제시…'불분명' 평가 여전
(워싱턴=연합뉴스) 김세진 특파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통화정책, 특히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관점을 '시점'에서 '경로'로 바꿔 달라고 금융시장에 주문했다.
통화정책을 결정하기 전 시장에 줄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리 주는 신호나 힌트인 선제안내(포워드가이던스) 대신 새로 제시한 일종의 지침이지만, 불분명하다는 평가는 여전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17일(현지시간) 통화정책 결정기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시장의) 관심이 가끔은 첫 연방기금금리 인상 시점에 너무 집중된다"며 "시장 참가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전체적인 (금리인상의) 경로여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금리 인상이 기계적으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우리(연준)는 (FOMC) 회의 때마다 0.25%포인트씩이라는 기계적인 경로를 따를 것이라고 절대 기대하지 않고 있다"고 말한 옐런 의장은 "연방기금금리를 올리는 데 있어 어떤 형태의 기계적 접근법도 따를 계획이 없다"고 단언했다.
이런 발언은 지난 3월 정례회의 때 옐런 의장이 제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뤄지는 통화정책' 방침의 연장선으로 해석됐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에서 '이번 회의 때 선제안내라는 형태로 암시를 주고 그 뒤에 금리를 올린다'는 형태가 아니라 '언제든 금리를 올릴 수도, 내릴 수도 있다'는 형태로 통화정책이 시행된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통화정책 시행이 시장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하려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설명했다.
옐런 의장은 올해 안에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표현의 '강도'는 다소 누그러뜨렸다.
지난달 "올해 안 어느 시점에는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높이기 위한 초기 조치에 나서고 통화정책의 정상화 절차를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던 옐런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분명히 대부분의 (FOMC 회의) 참가자들은 올해 금리를 올리는 것이 적절하다고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언제가 금리 인상의 적절 시점인지에 대해 위원회(FOMC)는 아무런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런 옐런 의장의 입장에 대해 통화정책의 방향을 모호하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는 이번에도 나왔다.
옐런 의장에게 질문하는 기자들은 "좀 더 분명하게" 언급해 달라고 주문했고, BNP파리바 투자은행 경제담당 연구원들은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이번에도 연준은 시장에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해) 내용이 뒤섞인 메시지를 보냈다"며 구체적이고 예측 가능한 통화정책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옐런 의장은 그리스 채무불이행 위기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데 대해 "함께 노력해서 해결책을 찾기 바란다"며 "미국 경제의 그리스에 대한 노출 정도는 제한적이지만 유로화 사용 국가들이나 세계 금융시장에 주는 영향은 미국으로도 전이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 법원이 2008년 금융위기 상황에서 미 정부가 보험사 AIG를 인수한 일을 위법이라고 판단한데 대해 옐런 의장은 "2008년 연준이 AIG에 했던 행동은 적법하고 적절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