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가뭄 피해지역에 625억원 지원

편집부 / 2015-06-16 13:38:53
장비·인력 최대한 투입해 급수…채소 수급 불안 최소화 총력


정부, 가뭄 피해지역에 625억원 지원

장비·인력 최대한 투입해 급수…채소 수급 불안 최소화 총력



(세종=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정부가 가뭄 장기화에 대비해 가뭄 피해 지역에 예산 625억원을 투입해 급수와 피해 복구를 지원한다.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6일 국회 농림식품축산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가뭄·수급안정 대책 추진 현황을 보고했다.

이달 14일 기준 인천·경기·강원·경북 등 4개 시·도, 27개 시·군의 논과 밭에서 가뭄이 발생했다. 전국 강수량과 저수율은 평년보다 각각 17.7%, 4.8% 낮다.

이에따라 농식품부는 관련 예산 총 625억원을 지자체별 가뭄상황에 따라 집행 중이다.

모내기와 밭작물 파종이 지연된 지역과 논·밭 용수가 부족한 지역에 국비 61억원(지방비 포함 312억원)을 지원한다. 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16개 저수지 준설에 30억원을 투입한다.

우선 급수가 필요한 지역을 중심으로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이달 3일 이후 가뭄이 발생한 농경지 6천300㏊ 가운데 45%인 2천826㏊에 지난 14일까지 우선 급수를 했다.

긴급 용수 장비로는 양수기 3천30대, 관정·들샘 1천200공, 급수차 1천401대, 송수호스 345㎞, 하상 굴착 867개소 등을 지원했다.

가뭄 농경지 비상 급수에 주민, 공무원, 군인, 경찰 등 인력 1만6천330만명도 긴급 투입했다.

농식품부는 비가 계속 오지 않는 상황을 전제로 이달 말까지 지자체, 관계부처·기관 등과 협력해 급수대책과 채소 수급 대책을 추진한다.

간이 양수기와 급수차 등을 동원해 하루 평균 논·밭 용수부족 지역 250㏊에 용수를 계속 공급할 계획이다.

농작물 고사 등 피해를 본 농가에 피해복구비를 지원하고, 파종·정식 한계기(6월 말∼7월 초)를 넘긴 벼·옥수수·콩 등 밭에서는 가뭄에 비교적 강한 조·메밀·수수·기장 등으로 대체 파종을 추진한다.

생육이 부진한 배추·무 등 고랭지 채소 수급 안정 대책으로는 7∼8월 수급불안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정식이 지연된 면적의 정식을 이달 말까지 마무리하기 위해 급·관수 시설 지원과 병충해 방제 등 기술 지원을 병행한다.

7월로 예정된 배추 계약재배 정식면적 중 38㏊를 이달 말까지 조기 정식해 8월 말 공급물량 2천500t을 미리 확보할 예정이다.

정식이 늦어진 데 따른 일시적인 출하 지연에 대비해서는 예비묘 추가 생산과 재정식을 준비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용수 공급을 위해 다목적 용수개발을 추진하고, 4대강 주변 상습 가뭄 농경지 1만2천㏊에 4대강 용수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오는 10월에는 농촌진흥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어촌공사 등 관계 기관 전문가가 참여하는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가뭄 대응 종합대책'을 세울 계획이다.

이동필 장관은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뭄·수급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고, 지자체·관계부처 등과 긴밀히 협조해 가용 장비와 인력을 최대한 지원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