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병원에 전권부여' 두고 복지부-서울시 신경전

편집부 / 2015-06-15 18:06:40
복지부 "서울시 주장 전혀 사실에 근거하지 않아"…강한 유감
서울시 "복지부 비난한 적 없어…협력하고 있다"
△ 마스크 쓰는 박원순 시장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이 15일 오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국민안심병원 중 하나인 서울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을 방문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왼쪽은 백세현 병원장. 2015.6.15 mon@yna.co.kr

'삼성병원에 전권부여' 두고 복지부-서울시 신경전

복지부 "서울시 주장 전혀 사실에 근거하지 않아"…강한 유감

서울시 "복지부 비난한 적 없어…협력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오수진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방역당국이 삼성서울병원에 전권을 부여했다는 주장을 놓고 보건복지부와 서울시가 이틀째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16일 권덕철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총괄반장은 메르스 일일상황 브리핑을 시작하마자 "복지부가 삼성서울병원에 전권을 맡겼다는 서울시의 주장은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발언"이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권 반장은 "지금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힘을 합쳐도 부족한 상황인데 협력을 저해하는 발언은 앞으로 진행되지 않기를 부탁드린다"며 유감을 표시했다.

이는 전날 박원순 서울시장이 "삼성서울병원에 전권을 맡기는 건 부적절하고 정부와 시가 참여하는 특별대책반이 업무를 총괄해야 한다"고 말한 데 따른 것이다.

복지부가 전날 보도해명자료를 통해 박 시장과 서울시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밝힌 데 이어 공개 브리핑에서 따로 시간을 할애해 다시 한번 유감을 표시한 것은 이례적이다.

복지부의 강한 반발에 서울시는 "우리는 정부가 삼성서울병원에 전권을 맡겼다고 말한 게 아니다"며 논란에서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시 김창보 보건기획관은 권 반장의 발언이 알려진 후 진행된 서울시 브리핑에서 "정부가 삼성병원에 전권을 맡긴다는 건 그럴 가능성도 없고 그럴 수도 없는 문제"라며 "이 표현은 병원에 문제를 모두 맡겨둘 게 아니라 특별대책반을 만들어 함께 풀어야 한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가 정부를 비난하는 것도 아니고 협력도 이미 하고 있다"며 "복지부 브리핑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왔다는데 앞뒤 맥락을 살펴 전화라도 한 통 주셨으면 이런 오해는 없었을 것"이라며 말했다.

메르스 대책을 두고 복지부와 서울시와 신경전을 벌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4일 박원순 서울시장이 메르스 의심 증상을 보인 삼성서울병원 의사가 최소 1천500여명 이상의 사람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했다고 발표하며 복지부가 이에 대한 정보 공개를 제대로 하지 않아 긴급 브리핑을 하게 됐다고 밝힌 것이 대표적 사례다.

이에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서울시의 일방적 발표로 국민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 일으켰다며 유감을 표시하고 모든 상황을 서울시와 긴밀하게 협의했다고 주장했다.

양측의 갈등은 3일 뒤 복지부와 지자체 4곳이 '중앙-지자체간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하면서 풀리는 듯 했으나 이후에도 환자 정보 공유 문제, 각종 방역 조치 등을 두고 삐걱거리는 모습을 보였다.

14일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삼성서울병원 비정규직 2천944명을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히거나 서울 보라매병원 응급실과 원자력병원 응급실을 폐쇄하는 과정에서도 양측의 협의 과정은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현장 상황이나 역학 조사 정보는 모든 지자체에 공개하고 있는데 유독 서울시에서만 자꾸 문제가 불거져 안타깝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방역 조치는 위험도와 노출도에 따라서 진행하고 있다"면서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조치들이 국민에게 좋을 수도 있지만 꼭 이게 바람직하고 적절한지는 다른 문제"라고 전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