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오바마, 연방공무원 정보 해킹 관련 제재 검토"

편집부 / 2015-06-14 11:04:57
△ 미국 국토안보부는 지난 4일 OPM 전산시스템이 4월 말부터 해킹당해 전·현직 연방공무원 400만 명의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이후 두번째 해킹 사례가 발견됐으며 이를 통해 신상정보가 유출된 연방공무원이 1천400만명에 이를 수 있다고 전했다. 사진은 미국 워싱턴D.C.의 국토안보보 본부 모습. 2015.6.14 (AP=연합뉴스 DB)

백악관 "오바마, 연방공무원 정보 해킹 관련 제재 검토"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소행으로 의심되는 연방인사관리처(OPM) 전산시스템 해킹 사건과 관련해 제재를 고려하고 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14일 미국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12일 오바마 대통령이 사이버 공격 배후세력 제재와 관련해 지난 4월 내린 행정명령을 발동할지에 대해 "새롭게 가능해진 선택사항을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그러나 OPM 해킹 사건 조사 결과 앞서 발표된 400만 명분보다 많은 정보가 유출됐는지, 이번 해킹으로 중국인 친지들 정보가 유출된 주 중국 미국 대사관 직원들을 재배치할지 등에 대한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4월 행정명령을 통해 사이버공격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해커 등 개인과 단체, 국가, 기업 등을 대상으로 강도 높은 제재를 가할 수 있는 권한을 재무부에 부여했다.

이 행정명령이 발동되면 재무부는 해킹 연루 세력의 미국 내 자산을 동결하고 사이버공격을 지원한 세력과 교역을 금지하는 등 조치를 취할 수 있다.

NYT는 만일 오바마 대통령이 중국을 상대로 행정명령을 발동해 이런 제재를 내릴 경우 사태의 중대성이 커진다고 분석했다.

여러 당국자가 이번 해킹을 중국에 근거지를 둔 해커 소행으로 보고 있으나 중국 정부와 해커 세력의 관계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미국 언론들은 정부 및 의회 관계자들을 인용해 이번 해킹 사건으로 신상 정보가 유출된 전·현직 연방 공무원이 당초 지난 4일 국토안보부가 밝힌 400만 명보다 많은 900만∼1천400만 명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관계자들은 이번 사건 조사 과정에서 같은 해커 소행의 또 다른 해킹 사례를 발견했으며 이를 통해 '기준 서식 86'(Standard Form 86)으로 불리는 국가 안보직 공무원 지원자용 질문지의 답변내용 등이 포함된 데이터베이스가 노출됐다고 말했다.

NYT는 이 질문지에는 당사자의 의료기록 등 상세한 신상정보뿐만 아니라 이들의 친척이나 친구 등 가까운 지인들의 주소와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등도 들어 있다고 전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