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접촉의심 노숙인 격리시설 수용에 주민 반대
4시간 대치하다 결국 다른 병원으로 이송
(수원=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접촉이 의심되는 한 노숙인이 경기도내 한 임시보호시설에 들어갔다가 주민들의 항의로 다른 병원으로 이송되는 일이 벌어졌다.
경기도가 메르스확산에 대비해 모니터링 대상자를 임시로 수용하려던 격리시설에 대해 주민들의 거부의사가 확인되면서 도의 메르스 환자 대응정책에 차질이 우려된다.
12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30분께 보건소 직원이 A(노숙인)씨를 데리고 도내 모처에 있는 시설에 들어갔다.
이 시설은 경기도가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의심이 있는 자가격리대상자를 임시로 수용하고자 마련한 격리시설 2곳 중 하나다.
도 관계자는 "이 사람은 메르스와 접촉한 의심이 있어 자가격리를 통해 모니터링을 해야 하는데, 노숙인이어서 집이 없는 관계로 시설에서 임시로 생활하도록 할 계획이었다"면서 "기침이나 발열 등 메르스와 관련한 증상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A씨는 메르스 확진환자가 다녀간 서울의 한 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았으며 보건소에서 11일 오후 A씨의 건강상태를 확인했으나 발열 등 아무런 이상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메르스와 관련한 사람이 시설에 수용됐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이 지역 주민 50여명이 시설 앞에 몰려나와 시와 보건소에 거세게 항의했다.
그러나 몸싸움 등 물리적 충돌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주민들은 "여기는 메르스 청정지역이고, 여기서 발생한 것도 아닌데 왜 격리시설을 만드냐"면서 "이곳은 관광지여서 메르스 때문에 주변 펜션에 예약이 취소되는 판에 격리시설이 만들어진 사실이 알려지기라도 하면 여기 업자들은 다 죽는다"고 반발했다.
제종길 안산 시장도 현장을 방문해 "청소년 시설에 메르스 접촉자를 수용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이에 시 당국은 오후 2시께 시설을 찾아가 "시설에 접촉자를 수용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혔고, A씨는 결국 4시 30분께 모 병원으로 이송됐다.
경찰도 주민반발이 거세질 것에 대비해 1개 중대 80여명의 경찰병력을 현장에 출동시키려 했으나 A씨가 시설을 나와 다른 곳으로 이송한다는 소식을 듣고 출동을 철회했다.
도 보건당국의 관계자는 "사실 격리시설은 메르스증상이 있는 사람을 수용하는 것이 아닌데 주민들이 막연히 두려워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